"제 그림 어때요?"…SNS 올린 사진에 '놀랍다' 반응 나온 이유

교통사고로 약 20년 전신마비 여성
'뉴럴링크' 칩 이식 후 컴퓨터 조작

교통사고로 약 20년간 전신마비 상태였던 미국의 한 여성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설립한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의 칩을 뇌에 이식한 뒤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게 됐다.


뉴럴링크 칩을 이식한 전신마비 여성이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컴퓨터 화면에 쓴 이름과 그림 등을 선보였다. 엑스

뉴럴링크 칩을 이식한 전신마비 여성이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컴퓨터 화면에 쓴 이름과 그림 등을 선보였다. 엑스

원본보기 아이콘

28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CNBC 방송 등에 따르면 미 루이지애나 출신의 전신마비 여성 오드리 크루즈(35)가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컴퓨터 화면에 자신의 이름을 쓸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20년 만에 내 이름을 처음 써봤다"고 전하며 컴퓨터와 두뇌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화이트보드에 보라색 펜으로 쓴 자신의 이름과 나무, 해 등의 그림 등을 선보였다.


오드리 크루즈는 16세에 교통사고로 인해 척추가 손상돼 전신이 마비됐다. 20년간 전신마비 상태로 살던 그는 지난주 마이애미의 한 병원에서 뉴럴링크 이식 수술을 받았다. 뉴럴링크 칩을 이식한 9번째 환자로 여성으로는 처음이다. 그는 "칩을 이용하면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다. 가까운 미래에 더 많은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일론 머스크는 "그는 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종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은 이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고 전했다.

뉴럴링크는 지난해부터 사람의 두뇌와 컴퓨터를 원격으로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를 사지마비 환자의 두뇌에 심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뉴럴링크는 최근 투자자들에게 제시한 보고서에서 2031년까지 연간 2만명에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을 이식해 연간 1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