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정책 전반에 건강 관점을 반영하기 위해 신설한 민간 전문가 제도인 건강총괄관으로 '저속노화' 인식을 확산한 정희원 박사를 위촉했다.
31일 시에 따르면 정 박사가 맡게 된 건강총괄관은 시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시민 건강' 관점의 자문과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건강총괄관은 시장 직속 비상근직이다. 임기는 2년이며, 내일(8월1일)부터 업무를 시작한다.
구체적인 자문 분야는 시정 전반의 건강 관련 정책 발굴 및 개선,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및 건강 증진에 관한 정책, 취약계층 지원 등 건강복지정책,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환경 조성 전략 등이다.
건강총괄관 제도는 저출산 및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와 건강 형평성을 확대하기 위해 도입됐다.
시는 특히 그동안 시민의 호응이 컸던 손목닥터 9988, 덜달달 프로젝트 등 건강 정책에 건강총괄관의 전문성과 아이디어가 더해져 정책의 완성도와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초대 건강총괄관으로 위촉된 정 박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근까지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저속노화', '자기돌봄' 등 건강한 삶에 대한 대중인식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건강총괄관이 기존 정책들을 건강 관점에서 폭넓게 들여다보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