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초대 건강총괄관에 '저속노화' 정희원 박사

'시민 건강' 정책 자문 및 아이디어 제안

서울시가 정책 전반에 건강 관점을 반영하기 위해 신설한 민간 전문가 제도인 건강총괄관으로 '저속노화' 인식을 확산한 정희원 박사를 위촉했다.


31일 시에 따르면 정 박사가 맡게 된 건강총괄관은 시 정책 수립 및 시행 과정에서 '시민 건강' 관점의 자문과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서울시 건강총괄관으로 위촉된 정희원 박사. 서울시 제공

서울시 건강총괄관으로 위촉된 정희원 박사. 서울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건강총괄관은 시장 직속 비상근직이다. 임기는 2년이며, 내일(8월1일)부터 업무를 시작한다.


구체적인 자문 분야는 시정 전반의 건강 관련 정책 발굴 및 개선,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및 건강 증진에 관한 정책, 취약계층 지원 등 건강복지정책,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환경 조성 전략 등이다.

 

건강총괄관 제도는 저출산 및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와 건강 형평성을 확대하기 위해 도입됐다.


시는 특히 그동안 시민의 호응이 컸던 손목닥터 9988, 덜달달 프로젝트 등 건강 정책에 건강총괄관의 전문성과 아이디어가 더해져 정책의 완성도와 실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초대 건강총괄관으로 위촉된 정 박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KAIST 의과학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최근까지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저속노화', '자기돌봄' 등 건강한 삶에 대한 대중인식을 높이는 데 힘쓰고 있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건강총괄관이 기존 정책들을 건강 관점에서 폭넓게 들여다보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