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햇빛·바람’ 전남 신재생에너지…②‘키’는 기술적 한계 극복

태양광·풍력 등 발전량 전국 최고 수준
송·배전망 부족 속 버려지는 전기 많아
재생에너지 발전 변수 커 기술력 중요

지난달 18~19일 이틀간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라남도 해상풍력 산업박람회 현장에 설치된 기자재 전시 현장. 심진석 기자

지난달 18~19일 이틀간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전라남도 해상풍력 산업박람회 현장에 설치된 기자재 전시 현장. 심진석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전남이 신재생에너지를 지역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단 계획이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발전시설은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지만, 정작 생산된 전기를 분배하는 시설 태부족으로 효율성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발전량 전국 최고

최근 공개된 전남연구원 'JNI 인포그래픽'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남의 태양광 발전량은 7,087GWh로 전국 1위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전북(5,547GWh), 경북(4,302GWh), 충남(4,254GWh) 등 순이다.

전남 내에선 신안(1,073GWh), 해남(782GWh), 영광(603GWh), 영암(630GWh), 고흥(655GWh) 등 상위 5개 군이 전남 전체 태양광 발전량의 52.8%를 차지했다.


전남은 풍력발전에서도 644GWh(19.0%)로 전국 3위를 기록했다. 강원(961GWh), 경북(934GWh)에 이어 상위권을 형성했으며, 전남, 경북, 강원 세 지역이 대한민국 전체 풍력 발전량의 73.5%를 차지했다. 재생에너지 투자 열풍 속에 일궈낸 결과물이다.


◇버려지는 전기 어쩌나

문제는 전국 최고 수준의 발전량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버려지는 전기도 최고 수준이란 점이다.

전기는 화력·원자력·풍력·태양광 등에서 생산(발전)되면, 154KV 이상의 고압 송전망을 통해 변전소로 보내진다. 고압전기는 변전소에서 중·저압으로 바뀌고, 변전된 전기는 배전망(전봇대, 배전선, 변압기, 배전반)을 통해 각 가정이나 공장, 상가 등에 공급된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원자력 등 기존 발전시스템과 달리 소위 전기를 쏘는 힘이 약해 '송·배전망' 구축은 절대적이다. 하지만 태양광과 풍력발전소를 포함한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은 늘어나는 데 반해 전력망 확충은 더디면서, 광주·전남 등 호남지역의 접속 대기 전력 규모는 4.2GW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의미 없이 전기가 낭비되고 있다는 의미다.


최근 들어 정부를 비롯해 전남도는 에너지고속도로 건설로 이러한 난맥을 풀어내겠다는 복안을 세웠다. '고성능 장거리 송전선로', '전력 사용이 몰릴 때 에너지 흐름을 저장하고 조절하는 ESS(에너지저장장치)', '서해를 가로지르는 최첨단 해상 HVDC(초고압 직류송전) 그리드', '지역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분산 에너지 인프라'까지 시설을 구축, 남아도는 전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겠단 것이다.


최근 정부 주도로 추진 중인 RE100(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2050년까지 전량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구매하거나 자가 생산으로 조달하는 것) 산단 조성 계획도 이에 파생된 개념이다.


현재 전남도는 지역산단(국가산단 6개, 일반산단 12개, 농공산단 1개소)들을 RE100 산단 조성 후보지로 놓고 검토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다만, 현재도 동해안~수도권 초고압 직류(HVDC) 시설 지연으로 동해안 주요 발전소들의 송전 제약을 겪는 등 기술적 한계가 명확한 상황에서 얼마나 실효성 있는 사업추진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더욱이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가격이 원전과 비교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단가 격차를 어떻게 극복해 기업들을 유치할 것인지도 불투명하다.


재생에너지는 용량(kW)은 엄청나게 크더라도 실제 전력생산량(kWh)이 작은 단점이 있다. 용량이 크면 당연히 발전량도 비례할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지만, 햇빛과 바람 상태와 조건에 따라 전력생산이 아예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갑자기 전력 생산이 넘치면 대정전 가능성이 커져서 예방 차원의 비용도 추가될 수 있다. 결국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재생에너지 성공의 키를 쥐고 있다.


지역 한 에너지 공기업 관계자는 "지역 내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육성하는 기조는 상당 기간 이뤄진 측면이 있다"며 "하지만 여전히 자연환경 파괴, 기술력 불안정성, 주민 수용성 문제 등은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한 깊은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호남취재본부 심진석 기자 mour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