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챗GPT에 학생들의 학습을 지원하는 '스터디 모드(Study Mode)' 기능을 도입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부터 무료 이용자를 포함해 챗GPT 플러스와 프로, 팀 등 구독자는 로그인 후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대학 등 학습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인 '챗GPT 에듀'에서도 몇 주 내로 제공될 예정이다.
오픈AI는 '스터디 모드'가 정답 제공은 물론, 문제를 단계별로 풀어가며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새로운 경험이라고 설명했다. 오픈AI는 "챗GPT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학습 도구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며 "학생들은 어려운 숙제 풀기, 시험 준비, 새로운 개념 탐구 등을 할 때 챗GPT를 찾는다"고 했다. 이어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 'AI가 실제 학습을 도와주는가' 또는 '학습자의 이해를 돕지 않고 단순히 답만 알려주는 것이 아닌가'와 같은 중요한 의문이 제기됐다"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터디 모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스터디 모드'를 이용하면 학생들은 목표와 실력에 맞춰 조정된 질문과 안내를 통해 깊이 있는 이해를 쌓을 수 있고, 단순히 숙제를 끝내는 것이 아니라 배우는 과정 자체에서 흥미롭고 적극적인 사고를 하게 된다고 오픈AI는 강조했다. 리아 벨스키 오픈AI 교육 부문 부사장은 "챗GPT를 수업이나 과외 등에서 활용하면 학업 성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단순히 정답을 알려주는 기계처럼 사용한다면 학습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교사, 과학자, 교육학 전문가들과 함께 개발한 '스터디 모드'는 학습자와 AI가 소통을 통해 정답을 도출하기까지 사고를 확장하고, 복잡한 주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단계별로 나눠 제공한다. 또 이전 대화 기록을 바탕으로 사용자 수준에 맞게 학습을 조정하고, 퀴즈와 개방형 질문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점검하고 피드백을 통해 응용 능력을 강화한다.
오픈AI는 미국인 대학생 3명 중 1명은 이미 AI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며 '스터디 모드'도 대학생을 염두에 두고 설계됐다고 밝혔다. 다만 학습 모델이 최적화되기 전까지는 일관성 부족이나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향후 오픈AI는 복잡하거나 텍스트가 긴 개념에 대한 시각적 자료 제공, 목표 설정 및 진도 추적,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개인화도 연구한다는 계획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18년 후에는 (AI에 의해) 교육이 극적으로 변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스탠퍼드 대학 중퇴자인 올트먼 CEO는 자신의 어린 아들은 "아마도 대학에 가지 않을 것"이라며 "내 아이는 AI보다 더 똑똑해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AI와 같은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그 기술과 함께 자란 사람들은 뭘 해야 할지 스스로 알아내고 새로운 종류의 직업을 가진다"며 "따라서 아이들보다는 부모들이 걱정된다. 그들은 50살에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일하는 법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