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대부분 먹고 마시는 데 사용된 반면에 Z세대는 자신을 꾸미는 데 쓴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대다수는 경제적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에 4050세대는 낸 세금을 돌려받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 인식 조사' 결과, 해당 정책에 대한 높은 인지도와 참여 의향이 확인됐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8.0%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을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성별(남성 79.2%, 여성 76.8%)과 연령대(20~60대 모두 70% 이상) 관계없이 모두 높은 인지율을 보였다. 실제로 해당 조사가 시행된 7월 21~24일 중 소비쿠폰을 신청한 비율은 34.5%였으며, 향후 신청 예정자(62.2%)까지 포함할 경우 사실상 대다수의 국민이 지원금을 신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로는 ▲외식 및 음료(70.0%) ▲식료품(63.7%) ▲생활용품(50.0%) 순으로 일상생활과 밀접한 항목에 사용이 집중됐다. 특히 스스로 계층 수준을 낮게 평가한 응답자일수록 생활비 항목에 대한 지출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단 20대는 미용, 의류, 취미 등 경험 소비 항목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였는데 이는 세대별 소비 성향 차이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응답자의 대다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소상공인 지원(81.1%) 및 지역경제 활성화(77.0%), 가계 경제 개선(70.7%)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4050 중장년층 중심으로 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신이 낸 세금을 돌려받는다고 느끼는 경향도 강했다.
하지면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와는 별개로 향후 국가 재정 부담에 대한 우려도 큰 모습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60.7%는 소비쿠폰으로 인한 세금 부담 증가가 걱정된다고 답했으며 58.4%는 '정부가 빚을 내서 주는 용돈'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부정적 인식은 특히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졌는데 이는 향후 조세 부담의 상당 부분을 본인들이 감당해야 할 것이라는 세대적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책 필요성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도 뚜렷했다. 향후 경제 위기 시에도 이 같은 소비쿠폰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0대(61.0%)와 40대(51.0%)에서 높았던 반면, 20대(38.5%)와 30대(34.5%)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60대는 40.0%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정책 시행 방식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했다. '출생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한 요일제 지급 방식'에 대해서는 82.0%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지급 범위(67.3%)와 지급 금액(65.6%)이 '적절하다'는 인식도 지배적이었다.
소득 수준에 따른 차등 지급에 대해서도 찬성 의견(70.7%)이 우세했으나 전체 지급 대상에 고소득층을 포함하는 데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고소득층 지급에 대해 '찬성'은 51.0%, '반대'는 41.9%였다. 특히 자신의 계층 수준을 낮게 평가한 응답자일수록 고소득층 지원에 반대하는 경향이 강했다. 중상층 이상에서는 33.3%만이 부적절하다고 봤지만, 중하층은 44.1%, 하층은 55.1%가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소비쿠폰 사용처를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가맹점 등으로 제한한 부분에 대해서도 의견이 갈렸지만 '찬성' 응답(53.5%)이 '반대'(40.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책의 취지인 지역경제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