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29일 정부 일각에서 오는 8월 예정인 한미 연합 군사 연습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 "현재까지 변경된 것은 없다"고 했다.
지난 28일 강원도 양양군 해상침투전술훈련장에서 'UFS/TIGER' 일환 특전사 연합 해상침투 훈련이 진행된 가운데 육군특수전사령부, 주한미특수작전사령부 장병들이 훈련에 앞서 체력단련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원본보기 아이콘이경호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한미 동맹은 굳건한 연합방위 태세 유지를 위해 연합연습을 연례적으로 실시해 왔다. 한미 연합연습은 양국이 합의한 절차에 따라 상호 협의 하에 진행되는 사안"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대통령에게 다음 달 중순께 시행 예정인 한미 연합 군사 연습의 '조정'을 건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실무조정회의를 통해 이 문제를 본격 논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정 장관은 우리 측의 잇단 유화 제스처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냉담한 반응을 보인 데 대해서도 "김 부부장의 담화에도 적시돼 있지만, 8월 한미 연합훈련이 가늠자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런 정 장관의 주장은 앞선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밝힌 의견과 다소 차이가 있다. 안 장관은 지난 15일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한미연합 방위체계 구축을 근간으로 삼은 나라이기 때문에 훈련은 어떤 경우가 있더라도 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대통령실은 정 장관의 해당 발언과 관련해 "통일부 장관뿐만 아니라 국방부 장관 등 관련 부처 의견을 들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