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비과학적이고 기괴한 점수표' 최동석, 이 정도면 무속인"

최동석, 과거 '지수' 개발해 인물 평가
"정부 인사도 비과학적일까 걱정" 사퇴 촉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이 과거 자신이 개발했다는 평가 지수를 토대로 정치인들의 점수를 매긴 것에 대해 "이 정도면 무속인"이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인사혁신처장은 정부의 인사업무를 총괄하는 직책인데 사람을 보는 기준이 비과학적이고 자의적이라고 비판한 것이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한동훈 페이스북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한동훈 페이스북

원본보기 아이콘

28일 한 전 대표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최 처장이 지난달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공개한 '고위공직 적합성 진단 결과'를 공유했다. 이와 함께 공유한 사진을 보면 최 처장이 과거 자신이 개발했다며 발표한 'APM(역량진단지수)을 통한 고위공직자 적합성 진단 결과' 내용이 담겼다. 이에 따르면 '한국 문명을 발전시킨 사람들'로 이재명(96점), 추미애(78점), 송영길(62점), 김용민(60점)이 각각 거론됐고, '한국 문명을 퇴보시킨 사람들'로는 윤석열(-113점), 문재인(-70점), 한동훈(-60점), 조국(-47점)이 언급됐다.

최동석 인사처장이 과거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APM지수에 따른 고위공직 적합성 진단 결과. 한동훈 페이스북

최동석 인사처장이 과거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APM지수에 따른 고위공직 적합성 진단 결과. 한동훈 페이스북

원본보기 아이콘

한 전 대표는 "저를 문재인 전 대통령보다 10점이나 덜 나쁜 사람으로 점수 매겼다. 놀랍지만 고맙지는 않다"고 말했다. 또 "인간을 대상으로 이렇게 점수를 매기는 것은 처음 본다"며 "이 정도면 '무속인'에 가까운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분을 이재명 정부 인사 실무총책으로 그대로 두면 앞으로 이 정부 인사업무가 이 기괴한 점수표처럼 이분 촉에 따라 비과학적으로 되는 게 아닌지 국민들께서 걱정하실 것"이라며 "더 늦기 전에 사퇴시켜야 한다. 그게 이 정부를 위해서도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동훈 "민주당, 금투세 데자뷔…대주주 양도세 확대 철회해야"

이와 더불어 이날 한 전 대표는 정부·여당이 주식양도세 과세 대상인 대주주 기준을 원상복구 하는 세제 개편안을 추진하는 것을 두고 철회해야 한다며 반대 목소리를 냈다. 그는 "진성준 의원 등 민주당 정치인들과 지금의 이 '주식양도세 과세 대상 확대' 논쟁과 논점이 거의 비슷한 논쟁을 작년 당 대표 시절 한 바 있다. 바로 '금투세 시행' 이슈였다"고 지적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김현민 기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김현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이어 그는 "민주당은 강행 입장이었는데, 반해 저는 국민의힘 당 대표자로서 집요하게 반대 주장을 했고 투자자들과도 연대해 철회를 끌어냈다"며 "그때도 민주당은 부자증세 갈라치기 논리였고 저는 금투세가 주가 하락을 가져와 오히려 소액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는 논리였다. 결국 소액투자자 등 여론의 반대로 민주당이 두 손 들고 철회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 전 대표는 "민주당도 소액투자자들 피해 우려라는 논리에 결국 설득되었기 때문에 작년에 금투세 강행을 철회했던 것 아닌가. 주식양도세 과세 확대도 제가 며칠 전 말씀 드렸다시피 똑같은 구조"라며 "주식양도세 과세 범위 확대도 같은 이유로 소액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므로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성준 의원은 '(과세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면 그때야말로 투자의 적기 아니겠느냐'는 말씀까지 하는데, 그 말을 주가 하락으로 피눈물 흘릴 청년 투자자에게 해 보시기 바란다"고 했다. 앞서 한 전 대표는 지난 25일에도 정부·여당의 대주주 과세 기준 하향 추진에 대해 "연쇄적으로 소액투자자들의 피해까지 불러올 우려가 있으니 재고돼야 한다"며 반대한 바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