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청양·부여 지역의 물 부족 문제와 반복되는 홍수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지천댐 건설을 본격 추진한다.
김영명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은 28일 기자회견에서 "지천댐은 단순한 물 저장 시설이 아닌, 충남의 100년 미래를 책임질 종합 전략"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집중호우로만 충남에 3200억 원 넘는 피해가 발생했고, 청양·부여는 3년 연속 특별재난지역에 지정되거나 건의됐다"며 "이제는 정부도 이 절박함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 16일 충청권 3개 언론사가 공동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2.9%가 댐 건설에 찬성했다.
특히 댐 영향권인 장평면(73.3%), 은산면(74.1%)에서 찬성률은 더욱 높게 나타났다.
댐 건설을 찬성한 이유로는 '지역 경제 발전'(32.9%)과 '인구 소멸 해소'(31.3%), '물 부족 해결'(19.9%)이 꼽혔다.
김 국장은 "이는 단순한 여론이 아니라 주민들의 절박한 생존 전략이자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에서는 생태계 파괴 우려와 함께 "여론조사 대신 전수조사 또는 주민투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 국장은 "전문기관이 시행한 조사이며 신뢰성은 충분하다"며 "전수조사나 주민투표도 주민협의체에서 필요성을 제기하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담수화와의 비용 비교와 관련해선 "해수담수화는 톤당 2000원, 댐은 500원 수준으로 약 4배의 차이가 있다"며 "에너지 소모가 큰 해수담수화보다 자연 유수 기반 댐이 기후 위기 대응에도 더 적합하다"고 말했다.
일부 추진위원회 인사들의 감정적 발언이 주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공개된 주민협의체를 통해 반대 측 의견도 수렴 중이며, 갈등이 아닌 대화를 통해 해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도는 오는 하반기 '지천댐 종합 지원 방안'을 마련해 ▲주민 수익사업 ▲이주 대책 ▲생태 보존과 관광 활성화 등 맞춤형 정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김 국장은 "지천댐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도민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이 사업에 도민 여러분의 깊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