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집중호우 피해 3664억…응급복구 이번 주 마무리

주택·농가·소상공인 특별지원 본격화…도, 읍면동 단위 특별재난지역 지정 총력

충남도 행정 부지사

충남도 행정 부지사

원본보기 아이콘

충남도는 최근 도내를 강타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율이 79.7%에 이르며 응급복구는 이번 주 안으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도에 따르면 총 피해액도 증가해 지난 27일 오후 6시 기준 잠정 집계는 3664억 원으로 지난 22일 기준(2430억 원)보다 1234억 원이 늘었다.

박정주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28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는 매일 아침 시군 및 중앙정부와 함께 피해 상황을 점검하는 비상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응급복구비 76억 5000만 원을 우선 투입했고, 대부분 지역은 이번 주말까지 복구가 완료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폭염 속에서도 32사단 장병과 자원봉사자 3만7000여 명이 복구 작업을 돕고 있다"며 "온열질환자 2명도 치료 후 회복했으며, 현장에 냉방버스 15대를 배치해 작업자 휴식도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는 현재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위한 실사를 진행 중이다.

피해액은 예산군이 907억 원으로 가장 많고, 서산시(589억), 아산시(500억), 당진시(431억), 홍성군(326억) 등이 뒤를 이었다.


박 부지사는 "읍면동 단위 지정을 포함해 전략적으로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박 부지사는 이번 집중호우 피해 원인에 대해 "도내 국가하천 11곳 중 4곳, 지방하천 491곳 중 120곳 이상, 소하천 2800곳 중 다수에서 유실 및 붕괴가 발생했다"며 "향후 복구는 100년 강우량 기준에서 200년 기준으로 상향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피해 주민 지원을 위한 자체 특별대책도 발표했다.


정부지원 외에 충남도는 총 168억 원 규모의 특별지원을 계획 중이며, 8월 중 집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파된 주택은 정부지원금 최대 3950만원 외에 도비 8000만 원이 추가돼 최대 1억1950만 원까지 지원된다.


반파는 최대 6000만원, 침수는 총 600만원(정부 350만원+도 250만원)을 지원받는다.


농업 부문은 보험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최대 100% 수준으로 보전하고, 축산 분야에는 폐사축 처리비 외에 농가당 2억 원까지 무담보 특례보증도 실시한다. 소 사육 농가에 대한 보험료 지원 비율도 80%까지 확대를 논의 중이다.


소상공인은 최대 900만 원까지 지원되며, 이후 성금을 통해 피해규모별 차등 지급이 추진된다.


금융지원도 병행돼 전통시장은 연 1.5% 초저금리로 최대 3억 원, 중소기업은 2% 고정금리로 최대 10억 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일시 대피자는 총 1515세대 2391명이며, 이 중 221세대 349명은 아직 귀가하지 못했다. 도는 이들을 위해 구호물품과 급식을 지원하고, 주택 파손자 81세대엔 공공임대 및 조립식 주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정신적 피해 회복을 위해 심리회복센터 8곳도 운영 중이며, 예산 덕산면에는 통합지원센터를 설치해 원스톱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충청취재본부 이병렬 기자 lby44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