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27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확장은 국토 균형 발전, 지방의 수도권 접근성 제고 등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GTX 연장 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견해를 묻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복기왕 의원(더불어민주당)의 질의에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서를 통해 이같이 밝힌 후 "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지방자치단체의 부담 완화 등을 적극적으로 고민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대선 기간 GTX 확대 개편을 통해 수도권 1시간 경제권을 조성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GTX 확장은 이 대통령이 수도권 집중화를 완화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목표로 하는 행정 체계로 공약한 '5극 3특'을 추진하는 데도 주요 수단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5극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 동남권(부산·울산·경남), 대경권(대구·경북), 중부권(세종·대전·충청), 호남권(광주·전남) 등 5개 초광역 거점도시권을 말한다. 3특은 강원·전북·제주특별자치도다.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과정에서 효율성과 공공성의 균형을 위한 전략을 묻는 질의에는 "집행이 부진하거나 효과성이 낮은 사업 등은 구조조정을 해 절감된 재원을 필요한 분야에 재투자해야 한다"며 "장관으로 취임하게 된다면 SOC 투자 시 효율성과 공공성이 지역별·SOC 별 특성과 여건에 맞게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특별검사팀이 서울-양평고속도로 관련 김건희 여사 일가 특혜 의혹을 수사하는 것에 대해서는 "수사 중인 내용을 별도 보고 받지 않았다. 사실 여부는 특검 결과로 밝혀질 사항"이라며 "이 사건의 본질은 김 여사 일가의 특혜 여부와 무리한 사업 중단이다. 이런 의사 결정 과정의 문제점을 밝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토부 내부의 조직적 대처 의혹에 대한 생각과 조치 계획에 대한 질문에는 "실무 공무원들이 과도하게 위축돼 소극적으로 되지 않도록 정황만 가지고 예단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