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생활습관을 바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월간지 보건복지포럼 7월호를 통해 '기후위기와 건강에 대한 대국민 커뮤니케이션 방안'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해 9월 전국 만 19세부터 64세까지의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앞서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보고서에도 수록된 바 있다.
응답자의 91.3%는 기후변화와 건강 문제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탐색하고 있다고 답했다. 탐색 빈도는 '가끔'이 41.3%로 가장 많았으며 주요 정보원으로는 신문·뉴스(94.0%)와 시사 프로그램·교육방송(92.0%) 등 공신력 있는 매체가 꼽혔다. 일반 도서(70.8%)와 논문 등 전문자료(67.2%)를 활용한다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기후보호를 위해 생활습관을 바꿨다는 응답은 66.1%에 달했으며 투표 시 기후변화를 고려한다는 비율도 54.9%로 절반을 넘었다. 응답자의 52.7%는 가족이나 친구, 동료와 기후변화에 대해 대화한다고 밝혔고 56.5%는 주변인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기후환경 단체 활동이나 기부 경험은 36.1%, 관련 강연이나 세미나 참석 경험은 26.0%에 그쳐 직접적인 참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87.4%가 관련 정보를 알고 싶다고 답했으며 관심 주제로는 기후로 인한 질병 관리(64.7%), 개인 행동 수칙과 대응 방법(59.2%), 국내 기후보건정책(40.7%), 건강 피해 통계(34.5%)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관련 정보가 특정 질환 중심으로 제한돼 있다며 기후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다양한 건강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기후위기의 부정적 측면보다는 대응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건강·경제적 이점을 강조하는 메시지가 더 효과적"이라며 "환경친화적 실천 사례를 미디어가 적극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