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이 홈플러스 사태를 고려해 국내 사모투자(PEF 출자사업) 위탁운용사 선정 기준을 강화했다. 앞으로 운용사 평가 시 투자 대상의 기업가치 제고, 자본구조의 건전성 등을 엄격히 검토할 방침이다.
25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사모벤처투자실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기준을 공개했다. 국민연금은 현재 제안서 심사와 구술 심사 결과를 50대 50으로 가중 합산해 운용사를 선정하고 있다.
이번 개정 기준에 따르면 구술평가에서는 운용 성과 배점이 15점에서 30점으로 2배 확대됐다. 특히 기존에 평가하던 운용 성과의 우수성과 적절성 외에 '운용 수익의 질'이라는 새로운 항목이 10점 배점으로 신설됐다. 운용 수익의 질은 투자 대상 기업의 질적·양적 가치 제고,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 건전한 자본 구조, 신뢰할 만한 지배구조 등을 평가하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변화는 올해 홈플러스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 노력 없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며 사회적 논란을 빚고, 국민연금이 상당한 투자 손실 위험에 직면한 데 따른 것이다. 국민연금은 2015년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인수 당시 프로젝트 펀드를 통해 5826억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블라인드 펀드를 통해서도 295억원 상당의 보통주에 투자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국민연금이 295억원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더불어 국민연금은 제안서 정성평가 부문에서도 운용 성과 배점을 기존 30점에서 35점으로 확대했다. 기존에는 '운용실적'과 '운용 규모' 두 가지 평가 항목이 있었으나 '청산 실적', '투자 규모', '회수 규모', '회수 비율' 등 네 가지로 구체화해 다양한 각도에서 운용 성과를 평가하기로 했다. 위험관리체계에 대한 배점도 10점에서 15점으로 상향 조정해 운용 리스크 관리 역량에 대한 중요성을 높였다.
국민연금이 운용사 선정 기준을 재정비함에 따라 지연됐던 선정 작업도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연금은 통상 매년 4월에 위탁운용사 선정 일정을 공개, 7월에는 운용사 선정을 마무리해왔으나 올해는 아직 선정 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