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진주·하동·의령·함양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역 차원 넘어선 국가 차원 관리 필요성 강조

"실종자 수색에 최선을 다하고 도민 일상 회복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24일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집중호우 관련 피해 및 수습·복구 상황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산청군, 하동군에 이어 집중호우 피해가 큰 진주시, 하동군, 의령군, 함양군 등 4개 시·군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집중호우 피해 및 복구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집중호우 피해 및 복구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또 이번 집중호우로 제방이 무너지고 하천이 범람해 주변 시설하우스가 물에 잠긴 하동 덕천강과 산청 양천을 국가하천으로 승격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그는 "두 하천은 유역 면적이 넓고 집중호우나 극한기후에 취약해 재해 발생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며 "기후위기 심화로 국지성 호우와 비정형 홍수 빈도가 증가하는 등 단순 지역 차원의 대응을 넘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이고 통합적 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박 부지사는 이번 집중호우로 토사 등 퇴적물이 다량 쌓인 덕천강, 호계천 등 지방하천 준설에 국비를 지원해 달라고도 했다.


집중호우 피해 주택 복구 지원비를 지난 3월 산청 산불 피해 당시와 상응하는 수준으로 상향해야 한다고도 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집중호우 피해 및 복구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가 집중호우 피해 및 복구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이세령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집중호우로 경남에선 산청군, 합천군, 하동군, 의령군 등을 중심으로 주택 948채가 산사태에 휩쓸려 무너지거나 물에 잠겼다.


농경지 4379㏊가 침수되고 소, 오리, 닭 등 가축 28만마리가 폐사하는 등 사유시설 피해가 잇따랐다.


도로가 잠기거나 끊어지고 하천이 범람하는 등 공공시설 1176곳이 파손됐다.


산사태와 통신국사 중계기 침수 등으로 단수와 정전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16~19일 사이 폭탄 수준의 비가 쏟아지면서 산청군에서만 13명의 도민이 숨졌고 1명이 실종됐다.


양산시를 제외한 17개 시군에서 6154세대 8000명이 대피했다가 소강상태에 접어들며 집에 돌아갔다.


산사태로 마을 전체가 붕괴한 산청 상능마을 주민 등 473가구 710명은 산청군 시천면 선비문화연구원, 합천군 삼가면 셰어하우스 등 공공시설과 민간 숙박시설에서 머물고 있다.


경남도는 공무원, 군부대, 소방, 자원봉사자 등 1만3945명과 굴착기, 덤프, 살수차 등 장비 2354대를 현장에 투입해 2차 사고 예방과 응급 복구 작업을 하고 있다.


마을 진입로 등 도로 281곳, 하천 72곳 등 공공시설 581건이 응급 복구됐으며 호우 피해 전 지역을 대상으로 방역작업도 진행했다.


미귀가 도민에게 임시주거시설과 식사, 구호 물품 들을 지원하고 피해 도민 심리회복을 위한 대면상담, 응급처치 등 의료지원도 하고 있다.


마지막 남은 실종자를 찾기 위해 경호강 등 지역을 넓혀 수색작업도 계속하고 있다.


상능마을 13세대 주민 16명은 이주단지 및 주택을 조성해 보금자리를 마련할 방침이다.


박 부지사는 "도민이 최대한 빨리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게 실질적 복구대책을 시행하고 정부와도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