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사퇴에…대통령실 인사시스템 재점검

정치적 부담 가중 피했지만
연이은 낙마에 후폭풍 여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현역 국회의원 첫 낙마 사례라는 불명예를 남긴 채 사퇴하면서 대통령실 인사 검증 시스템의 재점검이 불가피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정치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은 피했지만 연이은 낙마를 둘러싼 후폭풍은 피할 수 없게 됐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오광수 초대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임명 나흘 만에 차명 부동산 의혹으로 물러났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유학 논란 끝에 지명이 철회됐다. 강준욱 전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은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 옹호 발언, 식민지 근대화론 주장 등이 문제가 돼 결국 자진해서 사퇴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정부라는 한계가 있지만 부실한 인사 검증 문제에 관한 비판을 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대통령실은 인사 검증 체계의 재정비 필요성을 뒤늦게 인정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인사 검증 절차를 꼼꼼히, 엄밀히 진행하고 있지만 좀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 임명자를 찾기 위해 살펴볼 부분은 있을 것"이라며 "좀 더 신중히 접근하고 인사 절차에 엄정함을 갖추겠다"고 했다.


강 후보자 사퇴는 본인의 정치적 입지는 물론이고 여당 전당대회 구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다. 더불어민주당 원내지도부 위기관리 역량도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강 후보자 거취와 관련해서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박찬대 의원은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정 의원은 "동지란 이겨도 함께 이기고, 져도 함께 지는 것. 비가 오면 비를 함께 맞아 주는 것"이라며 강 후보자를 감쌌다. 반면 박 의원은 "어렵고 힘들지만 결정해야 한다"면서 사퇴를 촉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 의원 메시지가 나온 뒤 강 후보자는 실제로 사퇴했다.

박 의원이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덜기 위해 악역을 자처했다는 긍정 평가도 있다. 다만 강 후보자를 지켜주기를 바라던 당원들도 적지 않다는 점에서 전대에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지켜볼 일이다. 박 의원은 동지 의식 부족에 관한 비판에 대해 "누군가 곡해한 말"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인사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했던 말"이라고 해명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