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는 24~25일 이틀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제15차 한중일 원자력 안전 고위 규제자 회의(TRM·Top Regulators' Meeting)에 참석해 중국, 일본의 원자력 규제 기관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 우리나라에서는 조정아 원안위 사무처장이, 중국 측에서는 동 바오통(DONG Baotong) 생태환경부 국가원자력안전국 국장이, 일본 측에서는 반 노부히코(BAN Nobuhiko) 원자력규제위원회 상임위원이 참석한다.
고위 규제자 회의는 2008년 한중일 원자력 안전 규제 협력을 위해 처음 구성한 회의체다. 이를 통해 3국은 서로의 규제 경험을 공유하고 비상 대응 체계를 점검하며 규제 현안들에 대한 협력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중일 3국의 원자력 안전 규제 정책과 활동을 공유하고 합동 방재 훈련 결과 및 장기 가동 원전의 안전 규제 경험 등 기술 현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합동 방재 훈련은 인접국 원전 사고 대비 비상 대응 역량을 점검하기 위해 각국이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훈련에 다른 두 개국이 참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회의에서는 7차 훈련(2023.10월, 한국 한빛원전)과 8차 훈련(2025.2월, 일본 도카이원전)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점검을 통해 3국의 방재 시스템과 관련한 추가적인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우수 사례 및 시사점 등이 논의된다.
원안위는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후쿠시마 제1 원전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점검 계획을 직접 들어보고,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앞으로도 국제 안전기준에 따라 오염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확인해 줄 것을 당부할 계획이다.
원안위는 공통 현안인 장기 가동 원전과 관련한 규제 경험, 위험도 정보를 활용한 가동 원전 검사 체계 등을 공유해 서로의 규제 정책과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중국과 일본의 모범 사례들에 대해서는 국내 적용성 등도 함께 검토할 계획이다.
조정아 사무처장은 "합동 방재 훈련이 단순 반복 훈련이 아니라 비상 대응 체계를 한층 더 정교화하는 실질적인 훈련이 되도록 고위 규제자 회의를 통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