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의 특허·상표 출원, 자금조달·엑시트 가능성 높여"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을 선행했을 때 자금조달 가능성은 최대 17.1배, 엑시트(IPO, M&A 등) 가능성은 2배 이상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허청은 국가지식재산위원회, 한국지식재산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에 의뢰해 얻은 '스타트업 자금조달과 특허·상표의 중요성' 연구 결과(보고서)를 21일 공동 발표했다.

특허청 제공

특허청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연구는 1999~2025년 활동한 2615개 스타트업의 투자 정보와 특허·상표 출원 데이터를 토대로 지식재산 활동이 스타트업의 자금조달과 엑시트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됐다.


이 결과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선행했을 때는 출원 활동을 하지 않은 스타트업보다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소 1.7배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스타트업의 자금조달 가능성은 시드단계에서 1.7배, 초기단계(시리즈A~B)에서 3.1배, 후기단계(시리즈C~)에서 최대 6.3배까지 점차 증가했으며 후기단계의 스타트업이 특허·상표 출원 활동을 국내에서 해외로까지 확대했을 때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7.1배까지 높아졌다.

지식재산의 종류도 자금조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스타트업이 후기단계에서 특허출원과 상표출원 활동을 동시에 선행했을 때 자금조달 가능성이 최대 9배까지 높아진 것이다.


또 스타트업이 후기단계에서 특허·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했을 때는 자금조달 가능성이 17.1배까지 상승했다고 특허청은 강조했다.


특허청 제공

특허청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스타트업의 특허·상표 출원 활동은 엑시트 가능성을 높이는 데도 영향을 줬다. 실제 스타트업이 국내외에서 특허·상표를 20건 이상 출원한 경우 엑시트 가능성이 최대 5.9배까지 높아진 것이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이를 고려할 때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과정에서 자금과 지식재산 전략이 동시에 지원돼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광형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KAIST 총장)은 "지식재산이 스타트업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이번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며 "정부도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고려해 스타트업에 단순히 자금을 지원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스타트업의 지식재산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 스타트업의 지식재산 정보가 외부 투자자에게 기업의 성장 가능성과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스타트업이 지식재산권을 통해 기업의 혁신 가치를 인정받고, 투자 유치 등 성장에 필요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특허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