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명→2000만명 '폭발적 증가' 팔로워…K팝 가장 큰 이름 '케데헌' 열풍

WSJ, '케데헌' 글로벌 신드롬 조명

케데헌 삽입곡, 스포티파이 스트리밍 1위 올라
'미스터리' 보컬 케빈 우, 청취자 1만→2000만

자지도 늙지도 않는 아이돌, 모방 가능성 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세계적인 사랑을 받는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 열풍을 집중 조명했다. 20일 연합뉴스는 WSJ가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바로 넷플릭스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케데헌의 세계적 인기를 조명하며 "가상의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결코 이루지 못한 수준까지 도달했다. 매우 초현실적"이라고 보도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넷플릭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케데헌에 삽입된 노래 중 두 곡은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곡 1위를 차지했다. 이는 BTS, 블랙핑크 등 어떤 K팝 그룹도 달성하지 못한 기록이라고 WSJ은 소개했다. 그러면서 WSJ는 "가상의 아이돌이 현실의 아이돌보다 더 큰 인기를 얻게 되면서, K팝의 재창조를 꿈꾸던 이들은 냉혹한 현실을 마주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이는 음악 산업 전반이 기존 틀을 벗어난, 인공지능(AI)과 같은 새로운 참여자들과 씨름하는 가운데 일어났다"고 했다.

'미스테리' 보컬 케빈 우 "굉장히 초현실적인 느낌"

WSJ는 극 중 악당 보이밴드인 '사자보이스' 멤버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은 그룹 유키스 출신 케빈 우를 예로 들었다. 그의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불과 1만명 수준이었으나, 케데헌이 돌풍을 일으키면서 현재 2000만명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케빈 우는 로스앤젤레스(LA)의 한 호텔 수영장에서 친구와 함께 휴식을 취하던 중, 사자보이즈의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아이들을 봤다고 한다. 그의 친구가 "진짜 사자보이즈를 만나고 싶으냐"고 아이들에게 물었고, 이들은 소리를 지르며 사인을 요청했다. 케빈 우는 흔쾌히 응하며 '미스터리' 옆에 자신의 이름을 썼다.

그는 "가상의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굉장히 비현실적인 느낌이 든다"라며 "사람들은 나를 케빈 우나 K팝 아티스트로 알아보지 못한다"고 했다. 이어 "어떤 의미에서는 제 예술적 재능을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과 같다"며 사자보이즈 활동이 그룹 유키스 시절이나 브로드웨이 공연, 배우로서의 활동보다 더 빛을 발하더라도 개의치 않는다고 덧붙였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 스틸컷. 넷플릭스

원본보기 아이콘

K팝 연구자인 김석영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은 팬들이 비(非)인간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모방작들을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그는 "이건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여기엔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 있다"고 했다.


반면 K팝 프로듀서 겸 작곡가 베니 차는 "인간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AI 가수와도 작업한 경험이 있는 그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취약성, 화학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만들어낼 수 없다"고 설명했다. 해당 기사는 온라인판에서는 '차트 1위를 차지한 가장 큰 K팝 밴드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