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한 차례 갈등을 겪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화 이후 스페이스X의 정부 계약을 전면 재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3월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테슬라의 ‘모델 S’ 차량 운전석에 앉아 있다. 당시 미국 정부효율부(DOGE)를 이끌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옆자리에 앉아 웃고 있다. 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19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부와 스페이스X의 계약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했지만, 국방부·미 항공우주국(NASA)의 핵심 임무 수행에 스페이스X의 계약이 필수적이어서 해지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앞서 백악관은 국방부와 나사 등 주요 연방기관에 스페이스X와의 계약 현황을 상세히 보고하도록 지시했다. 이 검토는 미정부 독립기관인 총무청(GSA)이 주도했으며 각 기관은 스페이스X와의 계약의 가치를 측정하고 경쟁사가 더 효과적으로 동일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성과 기록표'를 작성해야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유인 우주비행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대한 우주 화물 보급 ▲안보 관련 위성 발사 ▲군사 목적 인터넷 위성망 등에서 스페이스X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신은 미정부가 머스크와의 결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정부가 스페이스X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줄이기 위해 보잉과 로켓랩·아마존의 블루오리진 등 다른 우주 기업들을 육성하고 경쟁을 촉진하려 하고 있지만, 이들은 로켓 및 우주선 개발에서 기술적 문제와 지연을 겪고 있어 이른 시일 안에 재사용 가능 발사체 기술과 위성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 스페이스X의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따라오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불화 이후에도 스페이스X는 정부 계약을 추가로 수주하고 주요 임무를 계속 수행하고 있다. 스페이스X는 지난 4월 59억달러(약 8조 2217억원) 규모의 신규 계약을 체결했고, 안보 관련 발사 임무를 28회 수주했다. 5월에는 미 우주군을 위해 업그레이드된 GPS 위성을 발사했다. 이달 말에도 NASA는 스페이스X 로켓을 통해 우주 비행사를 ISS에 보낼 계획이다.
한편 한때 트럼프 대통령의 '퍼스트 버디'(대통령의 단짝)라고까지 불린 머스크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을 반대하면서 '세기의 브로맨스'라는 별칭을 얻었던 둘 사이에 균열이 발생했다. 갈등이 격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연방 예산을 절약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머스크 회사들의 정부 계약을 해지하는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위협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에 반발한 머스크는 '아메리카당'을 창당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의 성 추문 사건과 관련돼 있다는 내용이 담긴 게시물 등을 올렸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