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학계 국민검증단 "이진숙 논문, 제목만 바꾼 복제물 수준"

수작업 원문 대조 분석…제자 논문과 유사성
“단순 논란 넘어 교육행정 책임자 자격 의심”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자진 사퇴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그의 논문이 사실상 '복제물' 수준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연합뉴스는 학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범학계 국민 검증단'이 20일 이같은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단체는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를 포함한 11개 교수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을 통해 석사학위 박탈을 주도한 전력이 있다.

앞서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충남대와 외부 전문가들이 검증한 결과, 과거 논문들의 표절률은 모두 10% 미만으로 평가됐다"며 "논문 관련 논란은 학계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채 나온 오해"라고 반박했다. 또한 "제자 논문을 표절하거나 가로챈 적은 결코 없다"고 덧붙였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그러나 검증단은 성명을 통해 "이 후보자의 주요 논문이 심각한 구조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연구윤리를 정면으로 위반한 사례"라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과 제자 A씨의 박사학위 논문을 포함한 복수의 연구물을 대상으로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은 단순 표절 탐지 프로그램이 아닌 1대1 수작업 원문 대조 방식으로 진행됐다.

분석 결과 검증단은 "제목만 바꾼 채 동일한 실험 설계와 데이터를 반복 사용하거나 문단 구조와 결론 해석이 유사한 경우가 다수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2018년 충남대학교 교수 재직 당시 작성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와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 등이 문제가 됐다.


검증단은 이 논문들이 제자의 박사논문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와 평가 방법부터 결론에 이르기까지 문장과 표현, 실험 방식 등이 거의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일부 논문에서 동일한 표현이 그대로 등장한 정황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14일 범학계 국민검증단의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검증 대국민 보고회에서 유원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4일 범학계 국민검증단의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 검증 대국민 보고회에서 유원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검증단은 "실험 설계, 해석 방식, 문단 구성까지 본질적으로 유사한 내용이 반복되고 있음은 단순 유사성 수준을 넘는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라며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훼손한 중대한 사안"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 후보자의 논문은 단순한 중복 게재나 유사성 논란이 아닌, 교육행정을 책임질 인사로서의 자격 자체를 의심케 하는 것"이라며 "이런 인물이 교육부를 이끈다면 우리나라의 학술·연구·윤리 정책은 정당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검증단은 "학계 기준으로 볼 때 이 후보자의 논문은 명백한 자격 박탈 사유에 해당한다"면서 필요시 국제 학술기구와 연계한 대응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