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이승만 전 대통령 서거 60주기 추모식에서 정운찬 전 국무총리, 김황식 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사업회 이사장, 김문수 상임고문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이승만 대통령이 계셨다면 이렇게 무기력한 셰셰(謝謝·고맙습니다) 외교는 없었을 겁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19일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후보 때 이른바 '셰셰(謝謝·고맙습니다)' 발언과 관련해 이렇게 말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진행된 이승만 전 대통령 서거 60주기 추모식에 참석, "2018년부터 올해까지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중국이 다수의 대형구조물을 무단 설치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강력하게 문제를 제기하거나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한미 동맹이 미국의 관세 문제와 주한 미군 주둔비 문제로 어려움에 부딪히고 있다"며 "정부는 미국 없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우리 국군 혼자 대처할 방안도 마련하지 않은 채 자주국방과 평화 제일을 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도 아직 개최하지 못하면서 주한 미군의 전시작전권 환수를 앞장서서 추진하겠다는 보도에 많은 국민들이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승만 대통령께서 목숨을 걸고 체결하신 한미상호방위조약 덕택에 지난 70여년간 한반도와 동북아에 평화가 지속되고 있다"며 "한미상호방위조약이 보장하는 미국의 확고한 전쟁 억제력 덕택에 대한민국의 경제 기적과 정치적 민주화가 가능했다"고 했다.
김 전 장관은 "한미군사동맹이 흔들리고 있는 지금, 관세 문제가 벅찬 지금 이때, 미국의 정·관계를 쥐고 흔드셨던 외교 대통령이 그립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15일 혁신위원회가 대선후보 강제 단일화 시도 등에 대한 사죄문을 발표하고 잘못된 과거와의 단절을 당헌·당규에 명시하는 방안을 1호 혁신안건으로 채택하겠다고 밝히자 "무슨 사과를 어떻게 하자는 건지는 구체적으로 봐야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