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을 계엄 통제 무력화 등 5개 혐의로 조기 기소한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공소장에서 제외된 외환 혐의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특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의 계엄 방조·가담 여부도 함께 규명할 방침이다.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의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에 취재진의 질문을 받으며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특검은 19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영장 단계에서 적용했던 국무위원 계엄 심의권 침해 등 5개 혐의로 일단 재판에 넘겼다. 하지만 수사의 핵심인 외환 혐의는 관련자 조사와 증거 확보를 통해 추가 기소하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특검은 최근 국방부와 드론작전사령부, 국군방첩사령부 등 24곳을 동시다발로 압수수색했으며, 의혹의 핵심 인물인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을 유도해 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려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해 10~11월, 국방부나 합동참모본부 보고 절차를 건너뛰고 직접 드론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다는 증언도 확보됐다. "대통령 지시였다", "국방부와 합참 모르게 하라고 했다"는 현역 장교 녹취록도 특검이 확보한 상태다.
특검은 무인기 투입과 관련한 군 조직 내 은폐 시도 여부와 허위 비행 보고서 작성 정황도 들여다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김용대 사령관 등은 일반이적죄 피의자로 특정된 상태다. 일반이적죄는 군사상 이익을 적국에 제공하거나 자국 군사 이익을 해치는 행위에 적용된다.
외환 혐의는 군사기밀과 관련된 사안으로 수사 난도가 높아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수사에 계속 비협조할 경우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강제 조사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특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 이상민 전 장관 등 국무위원들에 대한 공범 수사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들은 비상계엄 선포 직전 회의나 안가 회동에 참석해 계엄 방조·가담 의혹을 받고 있다. 한 전 총리는 허위 계엄 선포문에 서명한 뒤 문건 폐기를 지시한 혐의, 이 전 장관은 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의혹을 받고 있다.
이상민 전 장관과 관련해서는 최근 자택과 행안부, 소방청장 집무실 등 전방위 압수수색이 진행됐고, 소방청 지휘부로부터 '단전·단수 협조 지시를 받았다'는 진술도 확보된 상태다. 특검은 확보한 CCTV 영상과 증거를 토대로 이 전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외환 혐의를 입증한 뒤 추가 기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사 기간은 약 4개월이 남아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