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우크라 지원 방침에 반발하는 'MAGA'[AK라디오]

미국 우선주의 후퇴에 실망감
배넌 "하원 의석 40석 잃을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어트 시스템을 포함한 공격용 무기 지원을 결정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그동안 우크라이나 전쟁의 조기 종료와 미군 철수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정이다. 이번 결정에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으로 알려진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지지자들이 반발하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에 50일 내 휴전에 응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는 단순한 대러 제재를 넘어서 러시아로부터 석유를 수입하는 중국과 인도에 대한 2차 제재까지 포함한 강력한 경제 압박책이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모스크바를 공격할 수 있느냐"는 도발적 질문을 던졌고,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이 무기만 주면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우크라이나 정책 변화에 마가 핵심 인사 중 한 명인 마조리 테일러 그린 공화당 하원의원은 "마가는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동의한 적이 없으며, 미국의 해외 전쟁 개입을 찬성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다른 마가 핵심 인사인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 전략가는 "마가 지지자들의 10%가 이탈할 수 있으며, 내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하원 의석 40석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가 지지층의 반발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캠페인 기간 중 강력히 어필했던 '미국 우선주의'와 '해외 전쟁 불개입' 원칙이 훼손됐다는 실망감에서 비롯됐다. 특히 "유럽 전쟁에 미국 납세자의 세금과 미군 병사들의 목숨을 희생시키지 않겠다"던 공약이 지켜지지 않으면서 반발이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정책을 변화시킨 것은 푸틴 대통령과의 협상이 계속 무산되고 있는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중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금방 끝낼 수 있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실제로는 푸틴 대통령이 휴전 제안을 번번이 거부하면서 체면을 구겨야 했다. 최근 미국 여론조사에서도 전체 유권자의 60%가 "트럼프 대통령이 푸틴과의 협상에서 너무 저자세"라며 "더 공격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국내 여론의 변화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선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러시아 내부에서는 푸틴 대통령이 협상 최적기를 놓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주요 산업지역 대부분을 점령하고, 북한군 지원으로 크루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밀어낸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휴전을 하는 것이 러시아에게 유리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이 계속 강경 입장을 고수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휴전 제안을 거부한 것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평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2차 제재는 러시아 경제의 생명줄인 중국과 인도로의 석유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어 러시아로서는 큰 부담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설정한 50일이라는 기한은 단순한 협상 데드라인을 넘어서는 의미를 갖는다. 이 기간 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정책을 완전히 뒤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푸틴 대통령이 이 기한을 넘길 경우 더욱 강경한 정책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이 전쟁을 "불법 침공"으로 규정하지 않고 있으며, 푸틴 대통령에 대한 공개적 비난도 자제하고 있다. 오히려 "폭력적이었지만 푸틴이 영리하게 영토를 늘린 전쟁"이라고 평가하고 있어, 전쟁을 바라보는 근본적 시각은 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는 향후 미국 정치에 중대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마가 지지층의 이탈은 2026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킬 위험이 있다.


반면 푸틴 대통령의 선택에 따라 상황이 또 다시 급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번복이 잦았던 과거를 고려할 때, 러시아 일각에서는 "푸틴이 계속 자신의 주장을 관철시키면 트럼프 행정부도 결국 따라올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결국 앞으로 50일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을 결정할 중요한 기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최후통첩을 어떻게 받아들일지, 그리고 이것이 국제사회에 미칠 파급효과가 주목된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마예나 PD sw93ye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