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중국 AI 추격하려면 日과 데이터 공유해야"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8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 부대행사 '경영토크쇼'에서 대담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8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 부대행사 '경영토크쇼'에서 대담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원본보기 아이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본과의 제조 데이터 공유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의 AI 학습 속도를 경계하며, 한일 공동으로 제조 AI를 개발하는 협력 모델을 제안했다.


최 회장은 18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하계포럼 부대행사 '경영토크쇼'에 참석해 "강한 AI를 만들려면 밥을 잘 먹여야 되는데, 제조 AI에 있어 그 밥은 바로 데이터"라며 "대한민국이 제조 데이터가 풍부하긴 하지만, 중국이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갖고 있어 학습 속도에서 앞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조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국 AI와 경쟁하려면 일본처럼 제조 기반이 다른 나라들과 손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본과 서로 데이터를 교환해 같이 학습하면 훨씬 더 좋은 AI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데이터 확보와 협업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제조업 기반의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며 "배타적 경쟁이 아닌 전략적 연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또 "중국은 이미 제조업에 AI를 결합하는 데 있어 막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한국이 홀로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본은 한국과는 또 다른 제조 현장 데이터를 갖고 있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크쇼에서는 한국이 보유한 제조업 현장 기반의 비정형 데이터와 이를 활용한 AI 모델 개발의 중요성이 거듭 강조됐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단순한 기술 확보를 넘어, 데이터 협력 생태계를 어떻게 구성하느냐가 관건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토크쇼 진행을 맡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아무리 뛰어난 글로벌 모델을 써도 한국의 영토나 문화, 미디어 환경이 정확히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며 "AI 모델이 실제 현장 데이터와 연결될 수 있을지, 또 내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을지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가 단순한 자원이 아니라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선 스타트업 대표들과의 대담도 이어졌다. 세탁 기반 스타트업 '세탁고'의 이상호 대표는 "최근에는 일본 시장 진출을 타진하고 있다"며 "의류 세탁에 대한 문화적 수요가 높고, 현지 소비자들이 원하는 방식과 정보를 잘 모르는 상황에서 우리가 축적한 데이터와 운영 노하우가 충분히 통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모두의 AI 우리의 AI'를 주제로 한 이날 토크쇼에서 패널 토의와 스타트업 발표 등을 통해 산업 현장의 AI 활용 사례를 공유했다. AI 기술을 단순 소프트웨어 차원이 아닌, 제조·유통·서비스 전반의 산업 경쟁력으로 확장하려는 전략이 논의됐다.





경주=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