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 '국내 최초'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실증 성공

운항 중 배출한 이산화탄소, 액화해 자원으로
포집 CO2 처리 위한 제도 정비 필요성 대두
"선박 넷 제로 달성에 핵심적 기술 될 것"

삼성중공업 이 실제 운항 중인 선박에서 이산화탄소를 실시간으로 포집하고 이를 친환경 연료 생산 원료로 활용하는 데 성공했다. 조선, 해운, 에너지 업계 전반의 '탈(脫) 탄소' 밸류체인 첫 단추로 평가된다.


삼성중공업은 HMM, 파나시아, 한국선급(KR)과 함께 참여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시스템(OCCS·Onboard Carbon Capture and Storage)' 실증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7월 HMM의 22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분량)급 컨테이너선에 아민 흡수식 기반 OCCS를 국내 최초로 국내 최초로 설치하고 실제 항해 환경에서 매달 성능을 검증해왔다. 아민 흡수식이란 화학물질인 '아민' 용액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선택적으로 흡수해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삼성중공업은 HMM, 파나시아, 한국선급(KR)과 함께 참여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시스템(OCCS, 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 실증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선박 상단에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스템(OCCS)이 탑재된 모습. 삼성중공업

삼성중공업은 HMM, 파나시아, 한국선급(KR)과 함께 참여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시스템(OCCS, 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 실증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선박 상단에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스템(OCCS)이 탑재된 모습. 삼성중공업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이번 실증에서는 선박 운항 중에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해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1월과 5월에 각각 포집된 순도 99.9% 이상의 액화 이산화탄소는 친환경 메탄올 제조 공정의 원료로 사용됐다. 단순히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수준을 넘어, 이를 다시 자원으로 전환한 '탄소 자원화' 사례로 주목된다.

이동연 삼성중공업 조선·해양연구소장(부사장)은 "OCCS는 탄소를 포집해 친환경 연료로 전환하는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어 선박의 넷 제로 달성에 핵심적인 기술이 될 것"이라며 "조선·해운·기자재 업계의 협업을 통해 관련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업계는 기술 상용화를 위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는 육상 인프라 구축과 함께 관련 법·제도 정비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