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이 중남미에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개발도상국 산림황폐화 방지사업((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Plus·이하 REDD+)을 본격화한다.
산림청은 온두라스에서 REDD+ 본 타당성 조사를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온두라스는 중앙아메리카 중부에 위치한 국가로, 산림청은 이곳에서 REDD+ 사업을 벌여 '2030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한다는 복안이다.
REDD+는 개도국의 산림전용과 황폐화를 방지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활동이다. REDD+를 통해 확보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은 국가 간 이전으로, 원조국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온두라스 지역에서의 탄소 감축 성과를 한국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타당성 조사는 온두라스 REDD+ 이행 가능성과 제한사항 등을 조사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산림전용 훼손 현황과 사업을 추진했을 때 온실가스 감축 실적 추정치 등 사업 여건을 파악하는 것이 본 타당성 조사의 목적이다.
산림청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온두라스 현지 630만㏊ 산림에 국가 단위 REDD+ 협력 사업을 추진해 산림 분야 온실가스 국제 감축 실적 500만t 달성에 기여할 복안이다.
본 타당성 조사에 앞서 산림청은 온두라스 산림청장 등 현지 기후변화 관련 정부기관 관계자와 한국의 REDD+ 추진 계획과 향후 사업 결과에 따른 온실가스 국제 감축 실적 이전 등에 대한 논의도 진행했다.
남송희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산림은 기후위기에 대응할 가장 효과적인 자산으로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분야"라며 "산림청은 중남미, 아프리카 등지에서 REDD+ 협력 국가를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해 산림 분야의 국제 감축 목표 500만t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