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가 17일(현지시간) 주요 기업들의 호실적과 견조한 소비지표에 힘입어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틀 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전장보다 33.66포인트(0.54%) 오른 6297.36에 마감하며 올해 들어 아홉 번째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153.78포인트(0.74%) 상승한 2만 884.27로 장을 마쳐 올해 열 번째 최고가를 새로 썼다. 두 지수 모두 이틀 만에 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이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 역시 229.71포인트(0.52%) 오른 4만4484.49로 거래를 마감하며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월가의 기대를 뛰어넘는 실적 발표가 투자 심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펩시코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과를 내며 주가가 7% 넘게 급등했다. 유나이티드항공도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주가가 3% 상승했다.
시장 이목이 쏠렸던 넷플릭스는 전망치를 소폭 상회하는 2분기 실적을 내놨다. 장 마감 후 발표된 넷플릭스의 2분기 매출은 110억80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7.19달러로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 다만 넷플릭스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1% 넘게 하락 중이다. 실적이 기대치를 크게 웃돈 수준은 아닌 데다 주가가 추가 상승 모멘텀을 얻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가총액 1조달러를 넘는 초대형 기술주 가운데서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MS), 브로드컴이 일제히 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이 중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4조2212억달러에 달하며 독보적인 위상을 재확인했다. 미국 인공지능(AI) 기반 방위산업 기업인 팔란티어도 이날 2% 오르며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다시 한번 갈아치웠다.
이번 주 실적 시즌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지금까지 S&P500지수에 포함된 50개 기업이 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88%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고 팩트셋은 전했다.
이날 발표된 6월 소매판매 지표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도 시장 기대를 웃돌며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6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증가한 7201억달러로 집계되며 5월의 감소분을 대부분 만회했다. 이는 관세에 따른 가격 상승과 정책 불확실성에도 소비 심리가 크게 꺾지 않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여기에 고용 지표도 안정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덜었다. 미국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5주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며 3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7월12일로 끝난 한 주 동안 신규 청구 건수는 계절 조정 기준 22만1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주보다 7000건 줄어든 수치이자 시장 예상치(23만5000건)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이토로의 브렛 켄웰 미국 투자 분석가는 "소매판매 지표가 실적 시즌 초입에 맞춰 긍정적으로 나왔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기업들이 소비지출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이어간다면 사상 최고치 이후에도 주가는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 경제의 핵심은 결국 '소비자'라고 강조했다.
외환시장에선 달러화가 엔, 파운드, 유로화 대비 강세를 보였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을 해임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언급한 데 따른 영향으로 해석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사기(fraud) 문제로 자리를 떠나야 할 경우를 제외하면"이라는 단서를 달며 Fed의 건물 리모델링 지출을 문제 삼아 파월 의장을 해임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번 주 들어 S&P500지수는 주간 기준 0.6% 상승세를 기록 중이며, 다우지수는 0.3%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나스닥지수는 1.5% 올라 주요 지수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