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부지방에 쏟아진 물폭탄에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했다. 집중호우로 2명은 목숨을 잃고 1300명이 넘는 주민들은 인근 대피소로 몸을 피했다.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기준 8개 시도, 20개 시군에서 421세대 주민 1382명이 비로 인해 일시 대피했다. 목숨을 잃는 사고도 발생했다. 전날 오후 7시4분께 경기 오산시에서 고가도로 옹벽이 무너져 도로를 지나던 차량을 덮쳤다. 이 사고로 차량을 운전하던 40대 운전자 1명이 사망했다. 이날 오전 3시59분께 충남 서산시 석남동 한 도로에서 50대 남성이 심정지 상태로 침수 차량에서 발견됐다. 그를 병원으로 옮겼지만 목숨을 잃었다.
시설 피해도 일어났다. 공공시설 피해는 옹벽 붕괴 1건, 도로 유실 2건, 교량 붕괴 1곳, 도로 유실 3건 등 7건으로 집계됐다. 경기 안산에서 주택 침수 1건, 화성에서 사유지 옹벽이 무너졌다. 세종 양안지하차도와 아산의 남동지하차도는 물이 계속 유입돼 물을 빼내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정전이 발생했다. 전국에서 29건(가구수 9784호)의 정전 신고가 들어왔다. 이 가운데 11건(4802호)은 복구됐고 나머지는 복구 중이다.
집중호우로 인해 학교에는 휴교령이 내려졌다. 이날 기준 충남지역 667개 학교 가운데 482곳은 휴업, 132곳은 단축수업, 51곳은 등교시간 조정, 2곳은 원격수업을 진행했다.
교통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항공편은 46편이 결항했고 철도는 경부일반선(서울~대전역), 장항선, 서해선(홍성~안중역), 충북선(오송~공전역), 경전선(군북~함안역), 호남선(나주~고막원역) 등 76개 운행이 정지됐다. KTX 일부 구간은 서행했다. 목포~홍도 등 26개 항로·34척 운항은 중단되는 등 배편도 끊겼다.
중대본은 이날 오후 집중호우로 피해가 급증하자 풍수해 위기 경보 최상위인 '심각' 단계를 발령했다. 아울러 중대본 3단계를 가동하고 부처와 유관기관의 비상대응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상향 조정했다. 중대본 3단계 발령은 2023년 8월 제6호 태풍 카눈 이후 1년11개월 만이다.
전날 오전 12시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중부 및 남부 지방에는 물폭탄이 쏟아졌다. 지역별 누적 강수량은 서산 419.6㎜, 홍성 418.9㎜, 세종(전의) 387.5㎜. 당진 378.0㎜, 공주 375.0㎜, 청양 369.05㎜ 등을 기록했다.
앞으로도 집중호우는 계속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오는 19일까지 충청권과 경기 남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최대 300㎜ 이상 비가 더 올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민재 중대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국민 여러분께서는 집중호우 시 외출을 삼가고 저지대·강가·산사태 위험지역 등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접근을 자제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