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이진숙 '리스크', 李대통령의 세가지 시나리오…주말 분수령

14~18일 인사청문회 '슈퍼 위크' 종료…李대통령, 종합보고 받을 예정
강선우·이진숙 후보자 둘러싼 '갑질'·'표절' 의혹 일파만파
李대통령 판단에 따라 초대 내각 구성·인사 평가 시스템에 대한 평가 갈릴 듯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조각을 위한 인사청문회 절차가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4일부터 이어진 인사청문회에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이 여론의 도마에 오르며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탓이다. 특히 이들은 여권의 우군 역할을 해왔던 시민단체와 노동단체로부터도 사퇴 요구를 받고 있어 갈수록 부담이 커지는 양상이다. 이른바 '인사청문 슈퍼위크'는 18일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등을 끝으로 마무리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논란의 중심에 있는 강선우 후보자는 전직 국회의원 시절 보좌진에게 자택 쓰레기 처리, 변기 수리 등의 개인 업무 지시 의혹으로 '갑질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청문회 당시 "단순 오해"라는 해명 후 추가로 공개된 보좌진과의 텔레그램 대화가 "거짓 해명"이라는 비판을 불러왔다. 민주당 보좌진협의회는 강 후보자에 대한 사퇴를 강력히 촉구하며 공개적으로 반발했다.

이진숙 후보자 역시 논문 표절과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그리고 차녀의 불법적 조기 유학 문제로 도덕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 과정에서 논문 표절 의혹을 "검사 결과 기준 미달"이라며 반박했으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교육부 장관의 자질과 윤리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며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그간 대통령실은 "소명을 듣고 판단하겠다"는 다소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지만, 논란이 심화하자 "소명의 설득력 여부를 주의 깊게 검토 중"이라는 보다 신중한 자세로 돌아섰다. 이어 우상호 정무수석은 17일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실은 다른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가 진행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청문회가 마무리되는 18일 이후 대통령께 전체적인 상황을 종합 보고할 계획"이라며 "종합 보고 이후 대통령께서 인사권자로서 일정한 판단을 하실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르면 이번 주말 이 대통령의 최종 결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 2025.7.14 김현민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하고 있다. 2025.7.14 김현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이러한 가운데 세 가지 시나리오가 정국의 초점으로 떠올랐다. 여당 중심으로 인사청문 보고서가 채택되고, 이 대통령이 두 후보자 모두에 대해 임명을 강행할 경우다. 이 경우 이 대통령은 '정치적 결단력'과 '소신 행보'를 강조하며 초기 국정 동력의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민 여론 악화와 더불어 도덕성 논란으로 정부 전체의 이미지가 타격을 입고, 여당 내부에서도 갈등과 부담이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두 후보자 중 한 명만 낙마시키고 다른 한 명을 임명하는 절충적 선택도 가능하다. 강 후보자만 지명을 철회하고 이 후보자를 임명한다면, 이 대통령은 '여론 존중'과 '정무적 유연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임명된 한 명에 대한 비판이 지속될 우려가 있으며, 낙마한 후보자의 지지 기반이나 정치적 배경에 따라 진영 내 갈등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마지막으로 두 후보자 모두 지명을 철회하는 '읍참마속(泣斬馬謖)' 식 결단이다. 이 시나리오는 이 대통령이 '도덕적 원칙과 청렴성'을 국정 운영의 핵심 가치로 내세우는 신호로 읽힐 수 있다.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크고 정부의 이미지 회복에는 유리하다. 그러나 출범 초기부터 '인사 실패'라는 정치적 꼬리표가 붙게 되며, 향후 인사 과정에 있어서 대통령의 선택 폭과 정무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 대통령의 선택은 단순히 인사 문제를 넘어 향후 국정 운영의 기조와 리더십의 특성을 규정하는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특히 대통령실과 여권의 내 흐름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주말에 나올 이 대통령의 결정 따라 초대 내각의 구성과 인선 시스템에 대한 평가가 엇갈릴 가능성이 크다. 야권의 공세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강 후보자와 이 후보자를 포함해 정동영, 김영훈, 권오을, 조현 등 후보자를 '무자격 6적'이라고 부르면서 "이재명 정부의 인사 검증 시스템은 완전히 망가졌다"고 주장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