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절벽 오기 전에"…대출 규제에 전세 갱신 '쑥'

1~16일 갱신 계약 전월 동기보다 4.9%포인트 ↑
연립·다세대주택서도 갱신 비중 커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전경

원본보기 아이콘

6·27 대출 규제가 시작된 뒤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계약 갱신 비중이 늘었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묶이면서 이사 가지 않고 기존 살던 전셋집에 재계약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16일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갱신 계약을 한 비중이 42.1%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같은 기간 비중인 37.2%와 비교하면 4.9%포인트 높은 수치다.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계약 갱신 비중은 올해 들어 계속해서 상승했다. 지난 1월 34.2%를 기록한 뒤 5월 38%대까지 오른 뒤, 이달 40%를 돌파했다. 지난해와 2023년 7월1~16일 수치가 각각 27.5%, 24.5%인 것과 비교해도 최근 계약 갱신 비중은 크게 상승했다.


"전세 절벽 오기 전에"…대출 규제에 전세 갱신 '쑥' 원본보기 아이콘

대출 규제로 대출 한도가 줄자 매매를 포기한 임차인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이달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도 시작하면서 아파트 사기가 힘들어졌다. 특히 집 구매 시 6개월 이내 전입 의무가 생기면서 '갭투자'를 틀어막았는데, 이로 인해 전세 물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자, 서둘러 전세 계약을 갱신한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서울 연립·다세대주택에서도 계약 갱신 비중이 커졌다. 이달 1~16일 계약 갱신 비중은 32.5%로 나타났는데 전월 동기 수치인 29.0%보다 3.5% 상승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임대차 시장이 불안하니 일단 갱신을 하고 시장을 지켜보며 주거 전략을 짜려는 관망세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조만간 이 같은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전세 비용이 오르면 자금력 약한 서민의 경우 월세 시장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는데 수요가 몰려 월세 가격도 상승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월세 시장 전반에 걸쳐 계약을 갱신하는 분위기가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윤수민 NH농협은행 부동산전문위원은 "현재 임차인들에게 주택 매수라는 선택지가 사라졌다고 보면 전세 연장이 비용을 덜 들이면서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이라며 "부동산 정책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어서 계약 갱신을 하고 2년 더 기다리자고 판단하는 임차인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