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중동 순방에서 적극 추진했던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칩의 아랍에미리트(UAE) 수출 논의가 지지부진하다고 1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첨단 AI 칩이 중국에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 미국 정부 일각에서 제동을 건 것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일부 미국 관리들이 중국이 미국의 첨단 기술에 접근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해 양측이 협상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UAE가 미국 측 국가 안보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조건에 동의하지 않는 한 양국 간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을 수도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순방 당시 UAE와 수년에 걸쳐 수십만개의 엔비디아 AI 칩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엔비디아 칩은 AI 데이터 센터에 사용될 예정으로, 대부분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는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미국 기술 기업에 제공된다. 이 중 약 20%는 UAE의 AI 기업 G42에 공급하기로 했다. G42가 미국 기업이 운영하는 UAE 데이터 센터에 일부 관여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에 일부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G42가 엔비디아 칩에 접근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중국이 G42나 UAE 내 인력 및 기관을 통해 엔비디아 첨단 칩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G42에 직접 칩을 보내지 않도록 계약을 변경하면 UAE의 반발을 살 수 있다.
현재 미 상무부는 G42로 가는 반도체 공급을 승인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승인할 가능성은 열어둔 상태다.
협상 진행에 차질을 빚으며 양측 관계자들 사이에서 갈등이 생겼고, 해외에서 AI 사업을 확대하려는 기술 업계 경영진들도 불만을 품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이 합의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다만 협상 관계자들은 결국 반도체 거래가 성사될 것으로 예상한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 등 미국 관리들은 전날 피츠버그에서 열린 행사에서 UAE 대표단과 만났다. 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도 최근 트럼프 대통령과 회동에서 이 합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AI·가상자산 정책을 총괄하는 데이비드 색스는 전날 "우리가 기술을 제공하지 않으면 글로벌 경쟁사들이 제공할 것"이라며 첨단 반도체 유출 우려에 대해 "엄청나게 과장됐다"고 말했다.
미국은 국가 안보상 이유로 중국에 첨단 칩 수출을 금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중국용으로 성능을 낮춘 엔비디아의 H20 칩의 수출을 재개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