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충남 주민 10명 중 6명 "행정통합 찬성"…경제효과 기대감 뚜렷


충남 서북권·60대·자영업자 공감도 높아…"2026년 지방선거 전 통합 완료돼야" 60.7%

충남도청 전경

충남도청 전경

원본보기 아이콘

대전·충남 주민 다수가 양 지역의 행정통합 추진에 공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공동위원장 이창기·정재근)는 18일 지역 주민 65%가 통합에 공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문화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11일부터 14일까지 대전·충남 거주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자 중 16.9%는 '매우 공감', 48.1%는 '다소 공감'한다고 답해 전체 65%가 통합 추진에 긍정 입장을 나타냈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5%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남 서북권(77.3%)과 동남권(71.1%)의 공감률이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60~69세(72.9%)와 40대(69.1%)의 공감도가 높았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76.3%)와 무직·은퇴자(72.9%)가 높은 공감률을 보였다.

통합의 가장 큰 기대효과로는 '경제적 효과'를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65.3%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매우 효과 있을 것'(12.4%)과 '어느 정도 효과 있을 것'(52.9%)으로 분석됐다.


통합에 공감한다고 밝힌 응답자 중 88.9%는 지역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절차적 추진에 대해서도 긍정 반응이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60.7%가 "2026년 지방선거 이전에 통합 절차가 완료돼야 한다"고 답했고 공감 응답자 중 81.5%는 조속한 추진에 동의해 통합 속도전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창기 공동위원장은 "행정통합은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행정체계 개편이자 현 정부의 공약 사항"이라며 "주민에게 이로운 정책이라면 정치적 유불리를 따지지 말고 국리민복 관점에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한 찬반을 넘어 시도민의 분명한 의지가 반영된 만큼, 정부가 이를 공약 이행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재근 공동위원장도 "이번 여론조사는 시도민의 높은 기대감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며 "행정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결합이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다시 설계하는 작업"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시도민과 긴밀히 소통하며 행정 효율, 재정 분권, 균형발전 등 실질적 발전 방안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민관협의체는 지난 14일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 최종안을 양 시도지사 및 시도의회 의장에게 전달했다.


양 시도는 오는 8월 국회 발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후 행정안전부 검토와 국회 심사를 거쳐 12월 본회의 통과를 추진하고 있다.


민관협의체는 정부 차원의 통합 추진이 본격화될 수 있도록 통합 건의 등 관련 절차를 이어갈 계획이다.





충청취재본부 이병렬 기자 lby44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