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신에너지차량(NEV) 업체들의 제살깎아먹기식 출혈 경쟁이 우려 요인으로 떠오른 가운데 중국 정부가 해결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당국은 내수 진작을 위해 '불합리한 소비 제약'도 없앤다는 방침이다.
17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전날 리창 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원 상무위원회는 최근 논란으로 떠오르고 있는 자국 자동차 업체들의 과잉 생산과 과도한 저가 경쟁 등 문제를 처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상무위원회는 "NEV 산업 영역에 나타난 각종 비이성적인 경쟁 현상에 대해 거시·미시를 결합하고 정책을 종합해 산업 경쟁의 질서를 실질적으로 규범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용 조사와 가격 모니터링, 제품 생산의 일치성 감독·검사를 강화하고, 중점 자동차기업이 (하청 업체들에 대한) 대금 지급 약속을 이행하도록 감독해야 한다"며 "경쟁을 규범화하는 장기적 메커니즘을 완비하고, 업계 자율성을 강화해 기업이 과학·기술 혁신과 품질 제고 등으로 경쟁력을 높이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글로벌 컨설팅사인 알릭스파트너스는 이달 초 발간한 최신 보고서에서 NEV 업체들이 과도한 할인 경쟁을 멈추지 않을 경우 5년 이내에 129개 브랜드 중 단 15개만 살아남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2030년까지 수익을 낼 수 있는 브랜드는 전체의 10%도 안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파장을 고려한 듯 업체명은 함구했다.
알릭스파트너스의 스티븐 다이어 아시아 자동차 부문 책임자는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NEV 시장 중 하나"라며 "치열한 가격 경쟁과 기술 혁신, 신규 주자들의 출현 등이 이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이런 환경은 기술과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놀라운 진전을 끌어냈지만, 많은 기업이 지속가능 한 수익성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아울러 내수 진작 의지를 거듭 강조했다. 상무위는 "소비를 제약하는 불합리한 제한을 체계적으로 없애고, 소비재 이구환신(以舊換新·낡은 제품을 새것으로 교체 지원) 정책을 개선하며, 소비 수요에 맞춰 다원화된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신품질 생산력과 신흥 서비스업 등 영역 투자를 확대하고, 내수 잠재력이 충분히 풀리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중국은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5% 안팎'의 성장률 목표를 설정했으나 대외적으로는 미국과의 무역 갈등, 대내적으로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내수 침체 문제가 걸림돌로 지목돼 왔다. 이에 당국은 작년부터 소비재와 생산설비 신제품 교체 정책 등 내수 진작 정책을 추진해 왔다. 올해 3월 열린 연례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선 내수 촉진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15일 발표된 올해 상반기 경제 성적표에서 내수 회복은 기대에 못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과의 관세 전쟁 속에 수출 물량이 앞당겨지면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시장 예상을 웃도는 5.3%를 기록했으나, 6월 소매 판매는 4.8% 증가에 그쳐 전월(6.4%)보다 낮았고 시장 전망치(5.4%)도 밑돌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