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 마니아' 트럼프 성화에 못 이겨…재료까지 바꾼 '이 회사'

코카콜라, 미국 내 제품에 케인 슈가 사용
트럼프 정책 따라 코카콜라 매출 좌우되기도

'콜라 마니아'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성화에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운영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나는 진짜 케인 슈가를 미국 내 코카콜라에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코카콜라사와 논의해왔다"며 "그들은 그렇게 하기로 동의했다"고 전했다.

콜라 애호가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쌀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AFP·연합뉴스

콜라 애호가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쌀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AF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트럼프 대통령은 집무실 책상에 '콜라 버튼'을 설치할 정도로 콜라를 즐긴다. 지난 1기 때 이어 이번 취임 이후에도 콜라 버튼을 설치한 바 있다. 술과 담배를 전혀 하지 않고 다이어트 콜라를 즐기는 트럼프가 이 버튼을 누르는 즉시 테이블에 콜라가 준비된다. 트럼프 하면 콜라가 연상되는 탓에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에 따라 코카콜라가 매출이 좌지우지되기도 했다.

반트럼프 정서에 코카콜라 불매 운동 번지기도

이 가운데, 최근 반트럼프 정서가 글로벌 코카콜라 불매 운동으로 번지면서 타격을 입었다. 앞서 덴마크와 멕시코 등 글로벌 시장은 물론 미국 내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코카콜라 보이콧 바람이 일었다. 강경한 이민자 추방 정책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다. 덴마크 소비자들은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이 덴마크령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고 위협하자 이에 반발해 코카콜라 등 미국 브랜드 불매 운동을 벌였는데,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덴마크와의 동맹을 무시하는 발언을 해 반미 정서를 더 자극했다.


덴마크 국민들은 코카콜라 등 미국산 탄산음료 대신 국내산 제품을 대체품으로 선택하고 있다. 이에 덴마크의 졸리콜라 3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배나 급증했다. 멕시코에서는 트럼프 발 무역 전쟁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돼 매출 타격을 입었다. 멕시코에 본사를 둔 병입 업체 코카콜라 펨사는 "경제 활동 둔화,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친 지정학적 긴장 등으로 1분기 멕시코 내 판매량이 5.4% 감소했다"고 말했다.

콜라 애호가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쌀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콜라 애호가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쌀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이 같은 반트럼프 정서에 따른 코카콜라 보이콧 현상은 미국 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자 추방을 최대 업적으로 삼고 연일 강경책을 펼치고 있는데, 코카콜라가 불법 이민자를 신고했다는 AI(인공지능) 생성 영상이 유포되자 미국 내 히스패닉계 소비자들이 코카콜라 보이콧에 나선 것이다. 제임스 퀸시 코카콜라 CEO는 "이는 완전한 거짓"이라고 해명했지만 "매출에는 영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