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 마니아'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성화에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운영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나는 진짜 케인 슈가를 미국 내 코카콜라에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코카콜라사와 논의해왔다"며 "그들은 그렇게 하기로 동의했다"고 전했다.
콜라 애호가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쌀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AF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트럼프 대통령은 집무실 책상에 '콜라 버튼'을 설치할 정도로 콜라를 즐긴다. 지난 1기 때 이어 이번 취임 이후에도 콜라 버튼을 설치한 바 있다. 술과 담배를 전혀 하지 않고 다이어트 콜라를 즐기는 트럼프가 이 버튼을 누르는 즉시 테이블에 콜라가 준비된다. 트럼프 하면 콜라가 연상되는 탓에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 정책에 따라 코카콜라가 매출이 좌지우지되기도 했다.
이 가운데, 최근 반트럼프 정서가 글로벌 코카콜라 불매 운동으로 번지면서 타격을 입었다. 앞서 덴마크와 멕시코 등 글로벌 시장은 물론 미국 내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코카콜라 보이콧 바람이 일었다. 강경한 이민자 추방 정책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다. 덴마크 소비자들은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이 덴마크령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고 위협하자 이에 반발해 코카콜라 등 미국 브랜드 불매 운동을 벌였는데,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덴마크와의 동맹을 무시하는 발언을 해 반미 정서를 더 자극했다.
덴마크 국민들은 코카콜라 등 미국산 탄산음료 대신 국내산 제품을 대체품으로 선택하고 있다. 이에 덴마크의 졸리콜라 3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배나 급증했다. 멕시코에서는 트럼프 발 무역 전쟁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돼 매출 타격을 입었다. 멕시코에 본사를 둔 병입 업체 코카콜라 펨사는 "경제 활동 둔화,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친 지정학적 긴장 등으로 1분기 멕시코 내 판매량이 5.4% 감소했다"고 말했다.
콜라 애호가로 알려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등쌀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내 제품에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 케인 슈가(cane sugar)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이 같은 반트럼프 정서에 따른 코카콜라 보이콧 현상은 미국 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민자 추방을 최대 업적으로 삼고 연일 강경책을 펼치고 있는데, 코카콜라가 불법 이민자를 신고했다는 AI(인공지능) 생성 영상이 유포되자 미국 내 히스패닉계 소비자들이 코카콜라 보이콧에 나선 것이다. 제임스 퀸시 코카콜라 CEO는 "이는 완전한 거짓"이라고 해명했지만 "매출에는 영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