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인공지능(AI)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AI4(가칭) 회의'를 가동한다. 경제·금융 현안을 논의하는 F4 회의와 유사한 형식으로, 매주 AI 관련 부처가 모여 정책을 발굴하고 설계할 계획이다.
17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앞으로 매주 일요일 AI4 회의를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참여 부처의 참석자는 상황에 맞춰 유동적으로 조정한다. 각 부처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관련 회의를 시작할 방침이다.
AI4 회의는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 회의)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F4 회의는 파이낸스4의 줄임말로 경제부총리, 한국은행장,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이 참여한다. 2022년 추경호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안해 정례화됐다. 레고랜드 사태, 미국 금리 인상 충격, 12·3 비상계엄 사태 등 위기 때마다 '비상경제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다.
AI4 회의는 부처 간 이견을 정리는 가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AI 정책은 경제, 산업, 과학·기술, 교육 등의 분야가 얽혀있다. AI 대책을 빠르게 발표하려면 부처끼리 상시로 만나 정책을 조율해야 한다. 정부 관계자는 "AI 강화를 위해 범부처 협업이 필요하다"면서 "AI미래기획수석실과 기재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등이 지원할 내용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에서도 AI 정책을 원활하게 수행하려면 정부 부처와의 긴밀한 소통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말한 AI 공약 중에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라면서 "정부 부처와도 얘기하고 있는데 한정된 예산으로 공약을 현실적으로 어떻게 구현할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AI 공약을 뒷받침하는 측면도 있다. 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AI 3대 강국 진입'을 약속했다. 대규모 국민펀드를 조성해 AI 부문에 100조원을 집중 투자하고 미국, 중국에 이은 세 번째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다. 또 AI 고속도로 건설, 국가대표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및 오픈소스 제공, 소외계층을 위한 AI 기기·서비스 접근 확대 등을 공약했다.
이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AI 정책은 최우선 과제로 다뤄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조직개편을 통해 AI미래기획수석실을 만들고, 현장 경험이 풍부한 하정우 당시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을 발탁했다. 산하에는 국가AI정책비서관직도 신설했다. 지방 첫 공식 일정 역시 지난달 20일 울산 울주군에서 열린 AI 데이터센터 출범식이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출범식에서 "대한민국이 AI를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으로 삼아 다시 힘차게 성장하는 나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새 정부는 총력을 다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AI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