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에 대한 강제 수사에 나섰다.
박지영 특검보는 16일 브리핑에서 "이날 오전 7시부터 내란 후 증거 인멸과 관련해 조 전 원장 주거지를 포함한 8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특검에 따르면 조 전 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등의 비화폰 정보가 계엄 이후 원격으로 삭제되는 상황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다.
이들의 비화폰은 계엄 사태 사흘 후인 12월 6일 원격으로 로그아웃됐다. 원격 로그아웃은 통신 내역 등이 지워져 사실상 초기화된 것을 의미한다.
홍 전 차장은 당시 국회 정보위원회 여야 의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기록이 담긴 비화폰 화면을 공개했는데, 여기에는 계엄 선포 전후로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한 내역이 다수 찍혀있었다. 통화 내역 공개 직후 국정원은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경호처에 전달했고, 비화폰 삭제 조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비화폰 통화 기록이 삭제되기 전 조 전 원장이 박종준 전 대통령실 경호처장과 통화한 정확도 포착해 박 전 처장의 자택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홍 전 차장의 폭로 이후 수사에 대비해 조 전 원장에게 증거 인멸을 직접 지시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를 검토한 뒤 향후 조 전 원장을 불러 비화폰 삭제 배경과 윤 전 대통령의 지시 여부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조 전 원장은 앞서 'VIP 격노설 회의 참석 의혹'과 관련해 이명현 순직 해병 특검팀으로부터도 압수수색을 받았다. 박 특검보는 순직 해병 특검팀에서 압수한 물건을 뺀 부분에 대해 이번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또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기소 시까지 가족 및 변호인 접견을 제외한 피의자 접견 금지를 결정하고 이를 서울구치소장에 지휘했다고 설명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