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라고'…50세 이상, 치아 치료 안 하고 두면 암 위험 18% 증가

서울대병원, 성인 380만명 10년 간 추적
치아 상실 시 대장암 13%, 간암 9%↑

충치나 치은염 등 구강질환이 있으면 암 발생과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50세 이상에서는 빠진 이를 방치한 경우 암 발생 위험이 1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에서는 빠진 이를 방치한 경우 암 발생 위험이 1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50세 이상에서는 빠진 이를 방치한 경우 암 발생 위험이 1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김계형 교수와 서울시보라매병원 공공부문 이승연 박사는 국내 성인 380만여명의 건강 데이터를 추적 관찰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프로그레스'(Science Progress)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기록을 토대로 2009년 구강검진을 받은 성인 384만5280명을 2019년까지 추적 관찰했다. 구강질환은 충치, 잇몸을 지칭하는 치은에 생기는 염증인 치은염, 치아가 빠진 상태인 치아 상실의 세 가지로 구분해 질환 보유 여부에 따른 암의 발생률 및 사망 여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 암 발생은 총 18만1754건으로, 구강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암 발생률이 더 높았다. 특히 치아 상실이 있는 경우 대장암은 13%, 간암은 9%, 위암은 8%, 폐암은 4% 더 많이 발생했다. 치은염이 있는 경우에도 간암은 8%, 대장암은 7% 더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암으로 인한 사망률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10년간 암으로 인한 사망은 총 3만7135건이었는데, 구강질환이 있는 경우 암 사망 위험이 더 높았다. 구체적으로 치아 상실이 있는 사람은 전립선암 사망률이 24%, 위암은 21%, 간암은 16%, 대장암은 14%, 폐암은 8% 증가했다. 치은염도 간암 사망률을 11%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이러한 경향은 50세 이상 장년층에게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50세 이상의 치아 상실은 전체 암 발생 위험을 18%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위암, 대장암, 간암 등 주요 소화기계 암 모두에서 더 높은 발생률이 확인됐으며, 흡연 경험이 없는 경우에도 이러한 경향이 관찰됐다. 구강질환이 생활 습관 요인 외에도 암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김 교수는 "구강질환은 단순히 치아 건강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염증을 통해 전신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이 과정이 암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기적인 구강 검진과 위생 관리, 치과 치료는 암 예방의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