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은 16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개막한 '제38회 한경협 경영자 제주하계포럼'에서 "기업가정신은 국가 경제의 엔진이고 한강의 기적과 10대 경제 강국 도약을 만들었다"며 "어려운 시기일수록 기업가정신을 되살리는 제도와 환경이 절실하다. 그런 만큼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문제를 푸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이 16일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한경협 CEO 제주하계포럼’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16일부터 19일까지 제주도 롯데호텔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기업가정신, 도전과 혁신’을 주제로 열리며 500여 명의 기업인이 참가해 기업가정신과 미래 전략을 모색할 예정이다. 사진=한경협
원본보기 아이콘이날 한경협 제주하계포럼이 3박4일간 일정으로 막을 올렸다.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기업가정신, 도전과 혁신'을 주제로 열린 올해 포럼에는 기업인 500여명이 참석해 기업가 정신과 미래 전략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류 회장은 포럼 개회사를 통해 이와 같이 말하며 "한경협은 정부와 산업계를 잇는 인공지능(AI) 허브가 되어 한국형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AI 3대 강국 도약의 길을 개척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떡볶이'가 새롭게 포함되고 창작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을 휩쓴 것처럼 선진국이 되기 위해선 문화적 역량과 소프트파워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포럼의 기조 강연은 BTS 등 K팝 스타를 대거 배출한 하이브의 이재상 대표가 맡았다. 이 대표는 원래 기조 강연자였던 방시혁 하이브 의장 대신 연단에 올라 'K팝의 위기와 도전 :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하이브의 글로벌 확장을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그는 2023년 방 의장이 'K팝 위기론'이라는 화두를 던지게 된 배경과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하이브가 추진 중인 세 가지 솔루션 '멀티 홈, 멀티 장르', '멀티 레이블', '팬덤 플랫폼'을 소개했다. 이어 마지막으로 "업계 리딩 기업으로서 연관된 2, 3차 산업 생태계까지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포럼에서는 디지털 금융, 로보틱스, AI, 여행산업, 헬스케어 등 각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인들이 무대에 올라 미래 전략과 혁신사례를 공유한다.
이은미 토스뱅크 대표이사가 오는 17일 '디지털 뱅킹의 미래와 토스뱅크의 성공방정식'을 주제로 디지털 금융의 혁신 사례와 핀테크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를 소개한다.
이어 현동진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장은 '사람을 위한 공간과 인터렉티브 기술, 로보틱스'라는 강연에서 AI 기반 제조업 혁신의 실제 적용 사례를 발표한다. 콘텐츠 분야에서는 최재원 SAMG엔터테인먼트 부대표가 티니핑을 중심으로 타깃층 확대에 따른 콘텐츠의 IP 비즈니스 확장 전략을 전한다.
이외에도 송미선 하나투어 대표, 김동신 센드버드 대표, 서재걸 대한자연치료의학회 회장이 각각 여행업의 위기 극복, AI 기반 글로벌 시장 공략, 고령화 시대의 웰니스 트렌드를 주제로 발표를 이어간다.
포럼 기간에는 미스터트롯3 '진' 가수 김용빈, 피아노 치는 트롯맨 크리스영, 부활의 정동하가 함께하는 여름밤 스페셜 콘서트도 열린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