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 발전, 정부나 기업 단독으론 힘들어…민관협력 바탕 돼야"

韓 글로벌 AI 시장 6위…美·中과 격차 커
데이터센터 설립 위한 지자체 협조 필요

우리나라 인공지능(AI)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제언이 나왔다. 정부나 기업 단독으로는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앞서가기 힘든 만큼,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투자와 실행이 이뤄져야 한다는 취지다.


임기남 네이버클라우드 공공·교육사업부 총괄(상무)은 1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글로벌 AI 경쟁은 국가 단위 경쟁 총력전"이라며 "단일 AI 기업이나 정부 혼자서는 성장할 수 없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1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명환 기자

16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명환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현재 글로벌 AI 투톱으로 꼽히는 미국과 중국은 매년 막대한 자원을 쏟아부으며 AI 패권경쟁 속도전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720조원 규모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AI 인프라 구축 사업을 펼치고 있고, 중국은 국가 주도의 AI 발전 전략을 추진하면서 2030년까지 약 2000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은 글로벌 AI 시장에서 6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각각 1위와 2위인 미국, 중국과의 격차가 크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와 민간 기업이 역할을 나눠 AI 경쟁에 나서야 한다는 게 임 상무의 제언이다. 정부는 AI 반도체나 데이터센터와 같은 인프라와 투자를 담당하고, 민간 기업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임 상무는 "정부에서 지난해부터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많이 늘리고 있다"면서 "정부가 소버린(주권) AI 실현을 위한 인프라와 파운데이션 모델 투자를 늘리고 있는데, 이런 부분들은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민관 협력의 분야로는 인프라와 프로젝트, 해외수출이 제시됐다. 인프라에서는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한 지자체의 협조, AI 데이터센터(AIDC) 전력 수급과 비용 문제가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AI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는 산업별 특화 모델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임 상무는 "거대언어모델(LLM)을 어떻게 활용해서 적용할지가 중요한 문제"라며 "헬스케어나 교육, 국방처럼 특화된 모델에 대한 민관 모두의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AI의 해외 수출을 위해서도 민관의 협업이 필요하다. 산업별로 특화된 AI를 개발해 수출에 민관이 협력하거나 공공 특화 모델을 만들어 공공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그 사례다. 정부가 추진 중인 소버린 AI 역시 해외 수출을 위해 필수적이다. 그는 "(AI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따라가는 입장이었다면 이제는 리더로 나아가야 할 단계"라고 했다.

임 상무는 "AI 프로젝트는 첫술에 절대 배부를 수 없기에 계속해서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면서 "대규모 일회성 투자가 아닌 꾸준한 투자가 계속해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는 최형두, 한민수 국회의원과 한국인터넷기업협회가 공동 주최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