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의 사업구조 재편을 위한 그룹 자산 매각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매각 흥행 저조로 SK와 원매자인 사모펀드의 몸값 눈높이가 맞지 않은 영향이다. 자금조달이 급한 SK와 달리 사모펀드는 급할 필요가 없어 매각 주도권이 사모펀드로 넘어가는 모양새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5조 몸값으로 기대되는 SK실트론 매각이 장기전으로 들어섰다. 당초 SK는 지난달 9일까지 인수의향서(LOI) 접수, 지난달 말 적격 예비 인수 후보(쇼트리스트) 선정 일정으로 매각을 진행했으나 현재 잠정 연기된 상태다.
경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됐던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한앤코),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 스틱인베스트먼트와 해외 사모펀드 등 주요 후보들이 대거 이탈하고 한앤코만 이름이 거론되면서다.
IMM·스틱 컨소시엄은 IMM이 발을 빼면서 동력을 상실했다. MBK는 홈플러스 사태 등이 영향을 미쳤다. 해외 사모펀드의 경우 SK실트론이 보유한 12인치(300㎜) 실리콘 웨이퍼 생산 기술이 국가 핵심기술이어서 사실상 배제됐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가격에 대한 눈높이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SK는 SK실트론의 기업가치를 약 5조원 수준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유력 후보인 한앤코 측은 이보다 낮게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향후 매각 진행 시 한앤코가 유리한 고지에 설 것으로 보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SK실트론은 SK가 내놓은 매물 가운데 가장 높은 몸값으로, 재무구조 개편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면서 "SK는 매각 가격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협상 전략을 끌어오겠지만, 원매자가 제한돼 있어 SK가 원하는 가격을 맞추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SK에코플랜트가 매각을 추진 중인 환경 계열사(리뉴어스·리뉴원)도 비슷한 상황이다.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인 KKR과 국내 스틱인베스트먼트가 최종 경합을 벌였으나 KKR이 스틱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하면서 KKR로 기우는 분위기다.
KKR의 인수가 유력해 보이지만 SK 측은 이달 말 제안을 더 받아보겠다는 입장이다. KKR이 조건부 가격을 제시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SK가 원하는 2조원의 자금 조달과 다소 거리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SK에코플랜트는 해상풍력 발전 관련 제조사인 오션플랜트 지분도 매각 중이지만 쇼트리스트로 선정한 4곳의 후보가 제시한 조건에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은 사업 재편, 운영 효율 개선을 통해 2027년까지 80조원의 투자 재원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이렇게 마련한 자금은 인공지능(AI)과 에너지 사업을 양대 축으로 하는 미래 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