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 시행 이후 10억원을 초과하는 고가 아파트 계약 취소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에 따르면 대출 규제 이후 신고된 계약 해제 중 10억원 초과 아파트 비중은 35%로 집계됐다. 이는 대책 발표 이전 수치인 26.9%와 비교할 때 8.1%포인트 증가했다.
5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계약 해제는 32.2%에서 25.1%로,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는 40.9에서 40.0%로 줄어든 것과는 반대됐다.
투자 금액이 높은 고가 아파트일수록 향후 가격이 하락하면 손실 규모가 커 매수자들이 '상투를 잡았다'는 부담을 느껴 계약금 손실에도 거래를 취소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서초구는 계약 해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대책 발표 이전 2.5%에서 이후 5.7%로, 강남구는 5.1%에서 6.5%로 커졌다.
집값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노원구(5.3%→7.3%)와 도봉구(1.4%→1.9%), 강북구(1.3%→1.9%)도 매매계약 해제 비중이 상승했다. '영끌' 매수자들이 향후 집값 하락과 이자 부담을 우려해 계약을 해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이번 대책은 '집값이 조정될 것'이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시장에 던진 셈"이라며 "고가 아파트 매수자에게는 자산 방어심리를, '영끌' 매수자에게는 손실 최소화 심리를 자극하며 계약 취소라는 동일한 행동으로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