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16일 논문 표절 논란에 대해 "카피킬러는 모든 전문가가 지적하고 있지만, (카피킬러를) 돌려서 그냥 나오는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진행된 인사청문회에서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답변하며 후보자에게 제기된 논문 표절 의혹 등을 설명했다. 김 의원이 이 후보자의 논문 표절률이 52~56%에 달한다며 교육자 자격이 없다고 지적하자 이 후보자는 "카피킬러 결과물을 봤지만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관해서도 전면 부인했다. 이 후보자는 "원래 충남대의 학사관리대학원 학위를 주는 과정에는 이공계의 경우에 반드시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지만 학위를 낼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며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제자의 이름을 빼고 교수(후보자)의 이름만 넣었다는 지적에도 "그런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후보자는 "2007년 총장에 임용되기 전까지 논문 100편을 외부 전문가가 검증해서 모두 (유사율이) 10% 미만으로 판정 났다"며 "오랜 기간 검증한 논문이고 그런 논문이 카피킬러를 돌렸을 때 그런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전문가가 (유사 논문을) 하나씩 다 제외해 가면서 정확하게 돌려야 진정한 유사율이 나오는 게 정상"이라며 "언론에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논란과 관련해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역사 전공자인 제가 논문을 쓰는 방식과 이공계 글쓰기 방식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언급했다. 이공계와 인문계의 접근 방식이 다르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건축학과 친한 교수들에게 물었는데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교수와 함께 한 내용 가운데 일부를 석사 논문으로 쓰고 박사 논문으로 쓰는 것이 건축학계의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표절이거나 자기 부정이 아니라는 것이냐"면서 "인문계나 법대 출신들은 자신들의 방식으로 재단을 하는데 이공계 출신의 학문 연구 시스템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들이 존재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제가 논문 쓰는 것은 지도교수가 돕기는 하셨지만 철저하게 제 연구였는데 이공계 쪽은 지도교수 연구 내용 속에서 조금 더 발전해 박사 논문을 쓴다"며 "이공계의 경우 실험을 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글쓰기나 논문 전개 방식이 (인문계와) 같을 수 없고 학문적 내용의 성과도 다르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스승 입장에서 제자들과 연구하면 제1저자를 제자들에게 더 많이 줬으면 하는 아쉬움은 든다"고 말했다.
이에 이 후보자는 "제 논문의 1저자가 저인 것은 처음 단계에서 기획을 하는 경우에는 제가 주로 기획을 했기 때문에 그랬지만, (연구) 후반부로 가면 제자들이 1저자를 했다"며 "저자의 혜택 이런 것은 차이가 없고 교육적 차원과 공정의 차원에서 그렇게 했다"고 답변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