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안전한 의료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해 오는 8월8일까지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수요기업을 공모한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복지부는 2025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으로 24억원을 추가 편성해 의료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이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데이터를 활용해 AI 기반 제품·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분석 비용을 최대 4억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은 의료기관에 축적된 임상데이터를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인프라와 활용 절차 구축을 지원받는 43개 의료기관이다. 활용 가능한 의료 데이터는 CT, MRI, X-ray, 초음파 등 영상은 물론 서술된 형태의 의무기록(EMR), 진단서, 수술기록지, 진단코드, 검사결과 수치, 투약 이력, 유전체, 단백체, 대사체 정보, ECG(심전도), EEG(뇌전도), 혈압, 산소포화도, 나이, 성별, 병력, 생활습관 등이 포함된다.
선정된 기업은 수요-공급 매칭 후 지원 대상 기업과 의료기관 간 협약 체결, 협약 내용에 따라 데이터 가공·분석에 필요한 비용을 바우처로 지급받게 된다.
복지부는 "AI 기술을 의료 분야에 접목하면 신속·정확한 진단을 돕고 필수의료 의료진의 업무 부담을 덜 수 있다"며 "다양한 의료 AI 제품·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요자 맞춤형으로 제공해 의료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사례가 만들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수요기관 모집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