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가 인공지능(AI) 기반 스팸 차단 시스템을 고도화한 결과 스팸 차단 건수가 5개월 만에 약 1.4배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자들이 피해자를 속이기 위해 보내는 '미끼 문자'가 점차 교묘해지는 가운데 맞춤형 AI 필터링이 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기반 스팸 차단 시스템을 고도화한 결과, 스팸 문자 차단 건수가 6개월 만에 약 1.4배 증가했다. 사진은 LG유플러스 임직원이 스팸 차단 시스템을 구동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미끼 문자는 보이스피싱·스미싱 범죄자들이 공공기관이나 금융사·택배사 등을 사칭해 악성 인터넷 주소(URL)를 누르도록 하거나 가족으로 위장해 송금을 유도하는 문자 메시지다. 범죄자들의 수법이 교묘해지면서 실제 정상 문자와 미끼 문자를 내용만으로 구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LG유플러스는 AI 기반 대내외 데이터 통합 분석·대응 체계인 고객 피해 방지 분석시스템에 미끼 문자를 구별하고,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솔루션을 도입했다.
LG유플러스는 AI에 누적된 스팸 문자 데이터와 최신 트렌드를 학습시켜 차단해야 할 문구를 상시 업데이트하고 있다. 동시에 문자를 발신한 번호가 조작됐는지, 해외에서 보낸 것인지 등을 분석해 차단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카드 배송'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문자를 분석했을 때 발신 번호가 조작됐고 해외에서 발송됐다는 점이 파악된다면 스팸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 솔루션은 지난 2월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도입 전인 1월과 비교해보니 지난 6월 스팸 문자 차단 건수가 약 1.4배 증가했고, 실제 고객의 스팸 문자 수신 신고 건수도 같은 기간 약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흐를수록 AI의 성능도 개선되면서 AI의 실시간 자동 차단 비율도 8배 증가했다. 정확하고 빠른 탐지로 고객 보호가 강화됐고, 불필요한 스팸 문자 수신으로 인한 고객 불편도 줄어든 것이다.
LG유플러스는 고객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스팸 차단 솔루션 강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스팸 문자의 패턴을 더 빠르게 찾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스팸 예측 확률을 높이기 위한 AI 고도화 작업도 예정됐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