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두고 대통령실의 입장에도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14일 인사청문회를 마친 강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해소되기는커녕 되레 확산하고 있고, 16일 인사청문회를 진행하는 이 후보자에 대한 의혹도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어서다. 더욱이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여성단체와 국회 보좌진 사회가 잇따라 우려를 표했고,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후보자 자진사퇴와 대통령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강유정 대변인은 15일 브리핑에서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해명이 국민 눈높이에 부합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저희가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 그리고 그 부분에 대한 소명 여부와 설득력 여부도 주의 깊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사청문회 이전인 13일 브리핑에서 "본인의 소명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답변한 점을 고려하면 한층 신중해진 입장이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본인의 소명과 소명의 적절성 여부를 나중에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강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이른바 '갑질 논란'이 핵심이다. 보좌진에게 자택에서 나온 쓰레기를 대신 버리라고 하고, 망가진 변기 비데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일었다. 강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쓰레기 처리 지시가 아니라 차에 두고 간 음식물을 보좌진이 정리한 것뿐"이라며 해명했으나, 보좌진과의 텔레그램 메시지가 공개되면서 "거짓 해명" 논란으로 번졌다. 또 강 후보자 측은 2020년과 2022년 두 차례에 걸쳐 임금체불 진정이 접수됐다는 야당의 폭로에 대해서도 "배우자가 고용한 운전기사 개인의 문제로, 임금체불이 아니다"라고 반박했지만, 의혹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국회 보좌진 사회에서도 강 후보자에 대한 공개 비판이 이어졌다. 국회 보좌진 익명 커뮤니티인 '여의도 옆 대나무숲'에는 "후보자 본인이 스스로 피해자를 악마화하고 있다", "해명 과정에서 자괴감을 느꼈다"는 등 강도 높은 비판 의견이 다수 올라왔다. 더불어민주당 보좌진협의회도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와 만난 결과를 담은 입장문을 통해 "보좌진 인권과 처우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고 상당수 보좌관이 실망감을 느낀 사실을 전달했다"면서 "수면 위로 드러난 보좌진의 인권과 권익 문제는 외면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국회 보좌진 1450여명이 속한 익명 단체 대화방에서 강 후보자 거취를 묻는 투표 결과, 투표에 참여한 518명(92.7%)은 낙마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냈고 41명(7.3%)은 반대 의견을 냈다. 특히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단체들도 여가부 장관으로서의 도덕성과 자질이 의심된다며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압박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진숙 후보자를 향한 논란도 확산 일로다. 핵심은 논문 표절과 조기유학 특혜 의혹이다. 이 후보자가 2009년에 발표한 LED 조명 관련 논문이 본인 제자의 논문과 내용상 일치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표절 논란이 불거졌다.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이미 "이 후보자가 다른 사람의 연구 성과를 가로챈 의혹이 있다"며 문제를 제기한 상태다. 전교조 역시 "인용 없이 자신을 제1 저자로 올린 것은 명백한 표절로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고 즉각 반발하며 후보자의 자진 사퇴와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 후보자의 공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점과 차녀가 중학교를 마치지 않고 조기유학을 떠난 점도 비판 대상이 됐다. 전교조는 "이 후보자는 대학 행정 경험과 공약인 '서울대 10개 만들기'에는 관심과 의지를 보였을지 모르나 유·초·중등 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현저히 부족하다"면서 "자녀를 중학교 시절 미국으로 조기유학 보낸 사실을 스스로 인정했다. 공교육을 불신하고 사교육으로 대표되는 조기유학을 선택한 사람이 공교육의 수장 자리를 맡을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두 후보자를 둘러싼 여론의 추이가 심상치 않다는 점에서 대통령실은 물론 여권의 부담은 커질 전망이다. 여당인 민주당 내에서도 기류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지도부는 공식적으로 두 후보자에 대한 방어 태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의원과 보좌진 사회는 내부적으로 '무리하게 임명을 강행하면 정치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하기도 했다. 이날 진행되는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두 후보자의 거취뿐 아니라, 대통령실의 판단을 가늠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