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아 "참사 희생자를 모욕하는 반사회적 언행이 많다"면서 "법률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무관용 원칙으로 엄정하게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고통스러워하는 피해자 가족에게 어떻게 이런 짓을 할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서 "인면수심인가"라고 말했다. 지난주 국무회의 이후 배석 대상에서 제외된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은 이날 회의에 불참했다.
그러면서 이런 비극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관계 당국은 국가적 참사와 관련해 철저한 진상조사, 책임규명, 충실한 유가족 지원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했다.
또 이 대통령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 책무이고 그 일을 구체적으로 담당하는 공무원들은 실수하지 않는 것이 의무임에도 의무 불이행으로 많은 사람이 참사를 당했다"면서 "희생자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이어 "앞으로 폭염 피해와 비 피해가 예상되는데 공무원들이 본질적 업무인 국민의 생명, 안전, 민생을 지키는 데 각자 영역에서 업무를 충실하게 이행해달라"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오송 참사 2주기를 하루 앞둔 전날(14일) 사고 현장을 찾아 환경부와 충북도 등으로부터 당시 발생한 제방 붕괴 원인과 침수사고 경과를 비롯해 개선사항에 대한 브리핑을 듣고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가 나눠서 해야 할 일과 함께할 일을 잘 구분하고 단위별로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관리부실로 인한 인명하고는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재차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인력으로만 해결할 게 아니라 구조적, 시스템적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 없는지 묻고 이같이 강조했다. 오송 참사는 2023년 7월15일 오전 8시27분 집중호우와 제방 붕괴로 충주 궁평2지하차도가 침수되며 발생했으며 이 사고로 14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했다.
이 대통령은 김영환 충북지사에게도 충북 침수 위험 지역 등 세부적인 사항을 묻기도 했다. 또 이 대통령은 참사와 관련한 수사 진행 상황 등 유가족들의 요구사항을 확인하는 한편 관리 부실로 인한 인명사고는 엄격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