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의 효과가 상당하다며,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해 주요 해운기업까지 부산으로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14일 전 후보자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북극 항로 시대에 대비한 거점을 신속히 조성하겠다"며 "그 첫 단추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고, 이를 마중물로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해 주요 해운기업까지 유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그 효과를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이전해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고 선도한다면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가장 중점을 둘 것은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겠다는 것인데 여수, 광양, 부산, 울산, 경남을 거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권역이 북극항로의 직간접적인 영향권"이라며 "북극항로 시대를 잘 준비하면 한반도 남단에 또 다른 수도권을 만들어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엔진을 하나 더 장착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해수부 이전에 직접 드는 비용은 200억∼300억원이라고 추정했다. 전 후보자는 해수부의 기능 강화도 필요하다면서 "산업통상자원부에 공무원 10명이 있는 조선·해양플랜트과를 가져와야 한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부산 이전에 대한 해수부 공무원들의 우려와 관련해서는 "부처 이전 사례를 보고 정부 자원을 최대한 동원해 공직자 정주 여건, 교육, 주택 문제를 챙기고 있다"면서 "부산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실무 협의를 통해 주택 문제도 해소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가면 우수 인재가 해수부를 기피할 것이란 우려가 상당한 것을 안다"면서 "특별한 희생에 특별한 보상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