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산업장관 후보자 "관세 협상은 제조 협력 기회…재생에너지·원전 조화롭게 추진"

65억 규모 재산엔 "근로소득·퇴직금 등으로 마련"

연합뉴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미국과의 고율 관세 협상에 대해 "단순한 무역적자 해소를 넘어서 한미 간 제조 협력 로드맵을 구축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재생에너지와 원전의 실용적 조화를 이루는 에너지 정책도 병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14일 김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서에서 "미국의 관심은 교역 불균형 해소와 비관세 장벽 철폐에 있다. 우리도 규제 합리화 및 제도 선진화 차원에서 대응 여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상호 호혜적 결과 도출을 목표로 하되, 이를 우리 핵심 산업 도약의 기회로 활용할 것"이라며 "관세 협상은 양국 간 전략적 협력을 심화시키는 제조 협력 로드맵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 기술 패권 경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산업·통상·에너지의 유기적 협력이 중요하다"며 "한국 주력 산업의 수출 경쟁력 확보와 신시장 개척을 위한 '수출 선봉장'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원전 산업 육성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김 후보자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는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 과제"라며 "신규 입지 발굴과 계통 연계, 주민 수용성 제고 등 보급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정부 예산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원전에 대해서는 "무탄소 에너지원으로서 원전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전력수급 안정에 필수적"이라며 "재생에너지와의 조화로운 구성으로 실용적 에너지 믹스를 구현하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특히 소형모듈원자로(SMR) 및 차세대 핵연료 기술 개발, 체코·베트남·사우디·튀르키예 등 해외 원전 시장 진출 확대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김 후보자는 본인과 배우자의 재산 형성 과정에 대해서도 소명했다. 그는 "약 32년간의 공직 및 민간 활동을 통해 총 65억 원 규모의 자산을 형성했다"며 "공직자윤리법상 고지 의무를 성실히 이행했고, 모든 소득과 자산은 정상적 근로소득·퇴직금·자문료 등을 통해 마련됐다"고 밝혔다.


후보자 본인은 현재 약 34억 원, 배우자는 31억 원가량의 자산을 보유 중이며, 두 사람 모두 서울 송파구 소재 아파트 지분을 50%씩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 후보자는 "자산 형성과정의 투명성을 위해 세무 신고는 물론 필요시 관련 증빙자료도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