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장관 후보자는 14일 통일부 명칭 변경론과 관련 "검토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후보자는 "1969년 독일에서 브란트 정권 등장 이후 '전독부(全獨部)'의 명칭을 '내독부(內獨部)'로 바꿨고 이에 대해 소련은 물론 영국·프랑스 등이 환영했다"면서 "전독부는 우리말로 통일부인데, (명칭을) 내독부로 바꾸면서 독일이 대독일주의로 (다시) 가려는 것이 아니냐는 주변 국가의 우려를 씻은 것"이라고 전했다.
정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는 새로운 시작,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한다"면서 "그런 차원에서 통일부 명칭(의 변경)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는 또 '한반도부'를 대안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
정 후보는 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론'에 대해선 "강 대 강의 산물"이라면서 "남쪽 정부(윤석열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따른 대응이라고 본다"고 전했다.
적대적 두 국가론을 헌법에 반영하라는 김 위원장의 지시가 이행됐는지에 대해 그는 "아직 헌법에 반영하지는 않았다. 아직 헌법에 반영된 것은 없다"고 답했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정 후보자는 아울러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의 한미 연합훈련 관련 질의에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 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대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며 "앞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