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피앤비, 美 반덤핑 예비판정 '직격탄'…관세 이어 겹악재 맞은 석화업계

한국산 아세톤 반덤핑 행정검토 예비결과 발표
"해상 운반비 중복 계산된 듯…이의신청 완료"
소량 수출에도 규제망…최종 판정은 내년 초

미국 상무부가 금호석유화학 자회사인 금호피앤비화학의 아세톤 수출에 대해 0.69%의 반덤핑 마진을 예비 판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강화 기조에 더해 개별 품목에 대한 정밀 가격 규제 사례가 등장하면서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이중 압박을 받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수출 비중이 높지 않아도 단건 거래나 운송 조건에 따라 덤핑 마진이 산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가격 책정과 계약 구조 전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상무부는 최근 2023년 3월부터 2024년 2월까지의 한국산 아세톤 수입에 대한 이 같은 행정검토 예비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미국 아세톤 생산업체들이 결성한 '아세톤 공정거래 연합(Coalition for Acetone Fair Trade)'이 제기한 연례 요청에 따라 이뤄졌으며, 금호피앤비와 LG화학이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앞서 지난 3월 미국은 한국 등 5개국산 아세톤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5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한국의 대미 아세톤 수출은 2018년 9만5000t에서 2023년 2300t까지 줄며 규제 이후 90% 이상 급감한 상태다.

금호피앤비화학 여수1공장. 아시아경제DB

금호피앤비화학 여수1공장. 아시아경제DB

원본보기 아이콘

예비 결과에 따르면 금호피앤비는 해당 기간에 미국을 대상으로 한 아세톤 수출 가격이 자국 내 정상가격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돼 0.69%의 덤핑 마진이 산정됐다. 미국 반덤핑 규정상 마진이 0.5%를 초과할 경우 '무시할 수 없는 수준(de minimis)'으로 간주되며 관세 또는 현금예치금 부과 대상이 된다. LG화학은 같은 기간에 미국 수출 실적이 없다고 신고했고 이견이 없어 검토 대상에서 제외됐다.

아세톤은 페놀 공정의 부산물로 생산되는 투명하고 휘발성이 강한 물질로, 비스페놀A(BP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등 화학제품 중간체 제조에 필수적인 원료다. 국내에서는 금호피앤비와 LG화학이 주요 생산업체다. 두 회사 모두 페놀과 아세톤을 함께 생산하는 큐멘(Cumene) 공정 기반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미 상무부는 예비판정에 대한 이해당사자 의견서를 21일 이내 접수하고 이후 반론서 제출과 공청회 절차를 거쳐 2026년 초 최종 판정을 내릴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수출 규모가 적어도 단건 거래나 조건 하나에 따라 마진이 발생할 수 있다"며 "향후 다른 석유화학 품목으로 규제가 확대되지 않도록 가격 전략과 수출 조건 전반의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한국산 아세톤 수출단가는 지난 3월 t당 680달러(약 94만원)에서 6월 612달러까지 4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호피앤비, 美 반덤핑 예비판정 '직격탄'…관세 이어 겹악재 맞은 석화업계 원본보기 아이콘

금호피앤비는 이번 판정과 관련해 이의를 제기했다. 회사 관계자는 "해상 운반비가 중복 계산되는 등 과도하게 반영된 항목이 확인돼 상무부에 이의를 제출했다"며 "내년 초로 예상되는 최종 결과 발표까지 자료 보완 및 대응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향 수출 비중은 한 자릿수로 크진 않지만 관련 시장이 존재하는 만큼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금호피앤비는 여수국가산단에서 연간 페놀 70만t, 아세톤 42만t, BPA 45만t 등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실적은 최근 4년 연속 하락세다. 2021년 매출 2조6889억원, 영업이익은 1조원에 달했으나 2023년엔 매출 1조5135억원, 영업이익 28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해엔 17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금호피앤비, 美 반덤핑 예비판정 '직격탄'…관세 이어 겹악재 맞은 석화업계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판정은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고유가·수요 둔화·공급 과잉이라는 삼중고에 직면한 상황에서 나왔다. 아세톤처럼 단가 변동성이 큰 범용 제품군의 경우 수출 단가에 따라 마진율과 규제 리스크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기업 입장에서는 가격 설정과 거래 조건 전반의 정교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경고로 읽힌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