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는 우리땅 외치면서 우도는 中에 내주나" 제주에 꽂힌 오성홍기

해당 논란 이후 현재는 모두 철거 상태
관광객 급증에 기초질서 문제 꾸준히 도마 위

제주 우도의 한 해변에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가 설치됐다가 철거되는 일이 벌어졌다. 13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관광객이 우도 한 해수욕장을 촬영한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에는 해안도로를 따라 태극기와 함께 오성홍기가 줄지어 꽂혀 있었다. 오성홍기는 땅에 단단히 고정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영상을 찍은 A씨는 "독도는 우리 땅이라고 외치면서 정작 우도는 중국에 내어주는 것 같다"고 우려를 표했다. 해당 영상은 지난 8일 낮 12시54분쯤 촬영된 것이다.

지난 8일 제주 우도 한 해변에 중국 국기가 태극기와 나란히 꽂혀 있는 모습. SNS

지난 8일 제주 우도 한 해변에 중국 국기가 태극기와 나란히 꽂혀 있는 모습. SNS

원본보기 아이콘

A씨는 "오성홍기가 왜 꽂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전동차를 타고 우도를 순회하던 중 우연히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A씨는 '왜 깃발을 뽑지 않았느냐'라는 댓글에는 "중국인들 관광객이 이 앞에서 사진 찍으려고 줄을 서 있어서 차마 그럴 수 없었다"고 밝혔다. 영상을 본 누리꾼은 "제주가 언제부터 중국인의 섬이 됐나" "아무런 제재가 없으니 이런 일이 벌어지는 것" "믿기지 않는 장면"이라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해당 영상에 분개한 일부 누리꾼은 제주도청에 민원을 제기하기도 했다. 우도면 관계자는 한 매체에 "개인이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직원이 현장을 확인했을 때는 이미 중국 국기가 모두 철거된 상태였다"고 밝혔다.

지난 8일 제주 우도 한 해변에 중국 국기가 태극기와 나란히 꽂혀 있는 모습. SNS

지난 8일 제주 우도 한 해변에 중국 국기가 태극기와 나란히 꽂혀 있는 모습. SNS

원본보기 아이콘

이번 사건은 제주도의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발생했다. 지난 1월께 제주도관광협회는 지난해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190만7608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전인 2019년 이후 5년 만에 100만명을 넘어섰다.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은 130만4359명으로 전체 외국인 관광객의 68.4%를 차지했다. 그러나 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기초질서 문제도 꾸준히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3월23일부터 6월30일까지 100일간 '외국인 범죄 대응 특별 치안 대책'을 실시한 결과 무단횡단·무단투기·노상 방뇨 등 기초질서 위반 적발 건수는 총 4806건에 달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